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01188 줄기세포 조직 및 장기분화유도 기술
개
발 201789 인수공통전염병 관리와 치료법
개
발 201590 재활 의료복지 시스템 보급 201491 원격 산림자원 조사기술 실용화 201392 고혈압과 당뇨병 발생원인 규명 201693 신소재 인공위성 카메라광학부기술 보급 201594 암 발생과 전이의 유전적 과정 규명 20179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식용 새우, 부화하지 않은 병아리 등 많은 생물을 해부했다. 그는 이들이 살아있을 때 절
개
해서 심장의 수축과 맥박을 관찰했고, 이로부터 ‘피의 순환 이론’을 주창했다 ... ...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Q8
개
의 조각으로 옆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을 만들었다. 여기에 정사각형 조각(9번)을 집어넣어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다시 9번 조각보다 2배 큰 직사각형(10번)을 집어넣어 여전히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A지난 설 연휴에 일본 마술사 미스터 마릭의 쇼가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론들이 주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이론적 방법론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작은
개
체들이 모여 이뤄진 거시적인 시스템에서 그 전체적인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혀준다.예를 들어 1차 시각피질의 발달 연구에서 보인 것과 같이 대뇌 피질이 비록 어마어마하게 복잡하게 연결된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환자를 노린다약자를 괴롭히면 욕을 먹기 십상이지만, 기생충은 그런 평판에 전혀
개
의치 않는다. 어떤 이유로든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이라면 기생충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 에이즈 환자의 사망 원인 80%가 기생충이라는 사실은 기생충의 비열함을 단적으로 입증한다.그런 기생충 중 하나가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피사체 크기가 매우 작았다.역동적인 느낌을 주려면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고 여러
개
대상을 올려보며 찍으면 된다. 특히 흥겨움을 유발한 사진은 카메라를 아래 방향으로 해서 찍은 경우가 많았다.화각 | 렌즈를 통해 보이는 각과 시야, 넓이를 말한다.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짧을수록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적게 쓰는 사용자들에게는 염가의 요금을 부과하고 다양한 사업
개
발을 통해 수익을
개
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네티즌의 비판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한편 최근 인터넷 접속시 아이디와 같은 비밀번호를 입력해 인증 받는 ‘새 인증제’를 놓고 일각에서 ‘인터넷 종량제 수순 밟기가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말한 적이 한 번도 없었음.•시기: 1965년 4월 19일(당시 37세).•당시: 페어차일드 반도체
개
발소장.•계기: 미국의 공학전문잡지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가 35주년 기념호에 전자업계의 현 상태를 요약해달라며 무어에게 기사를 청탁.•제목: 집적회로에 더 많이 구겨넣기(Cramming more components onto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같은 모양의 썰렁 홈즈 그림자가 여러
개
있다. 그중에서 방향이 다른 그림자가 단 한
개
있지. 그 그림자를 찾아보아라. 물론 자기의 그림자니까 찾아낼 수 있겠지?” 한 사람은 누구란 말이지?“좋았어. 이제 마지막 문제다. 우리 까마케롬다만드러는 모두 여섯 명으로 구성된 세계 최고의 ... ...
오리온 성운의 화난 아기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NASA)과 유럽남방천문대(ESO)는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 등을 이용해 오리온 성운에서 수백
개
의 별이 강력한 X선을 쏟아내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다. 연구팀은 X선 망원경을 13일 동안 노출해 이 사진을 찍었다.태어난지 얼마 안된 젊은 별은 성숙한 별보다 훨씬 더 강한 X선을 방출한다. 우리 태양의 ... ...
이전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1049
1050
10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