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자
옮겨심기
이종
이주
이전
적립
축재
뉴스
"
이식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뼈 붙인 뒤 재생까지 돕는 ‘홍합 단백질 접착제’
2014.12.18
실제 동물실험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현재 골
이식
재 접착제 제작 기술을 치과재료 전문기업인 (주)푸르고에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바이오소재 분야의 국제학술지 ‘재료화학저널B’ 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치아엔 티타늄-스텐트엔 니티놀, 생체 금속의 세계
2014.12.12
1월 스웨덴 샬메르스공대 연구진은 사고로 오른팔을 잃은 트럭 운전사에게 로봇 팔을
이식
했다. 로봇 팔을 단 운전자는 과학 학술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실제 팔처럼 자연스럽게 잘 움직인다”고 밝혔다. 운전사의 ‘진짜’ 팔과 ‘가짜’ 팔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이어준 건 바로 티타늄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국내 난청 환자는 인구 1000명당 4.4명이나 된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능은 체내
이식
형 인공와우는 물론 수중 음향센서, 특수용 음향분석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세계적인 저널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1월호 표지 ... ...
우리 몸속 장기를 인공으로 만든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03
- 한국연구재단 제공 신장 기능 문제로 투석기 없이 살 수 없는 14살 송군.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린 지 5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소식이 없다.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 막막한 상황이다. 조직공학은 송군과 같이 기능이 상실된 조직이나 장기를 자신의 세포를 통해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과학동아
l
2014.11.25
PC는 하드웨어가 통일돼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하드웨어마다 매번 운영 체제를 새로
이식
해야 한다. 설계철학도 다르다.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PC와 달리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더욱 특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하나로, 홍채에
이식
된 췌도에도 혈관이 새로 생긴다.
이식
결과 어린 쥐의 홍채 속에
이식
한 췌도에 혈관이 새로 자라 인슐린이 분비됐고, 어린 쥐의 혈당도 제대로 조절됐다. 췌도 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남 단장은 “췌도 혈관의 염증과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질병처럼 실험해 볼 동물 모델을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실험용 쥐에게 암세포를
이식
하면 암에 걸리지만 쥐가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신뢰할 만한 방법은 없다. 현재로서는 물에 빠뜨린 뒤 얼마나 필사적으로 물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지 살피거나, 몸집이 크고 센 쥐와 함께 우리에 가둬서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전기나 초음파, 자기장 등을 이용한 기존 신경 자극법은 전극이나 시스템을 환자에
이식
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실제 치료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원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였다. 연구진은 열을 이용해 신경세포나 세포 조직의 활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최신 ... ...
‘신이 내린 몸매’는 누가 만드나
2014.11.10
처음 밝힌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루시 레이 코넬대 교수는 “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이식
하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새로운 비만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는 ‘셀’ 6일자에 실렸다 .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
해 성능 확인 시험을 마친 뒤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또 달팽이관의 두께를 10분의 1로 줄인 인공 와우를 개발하고 있다. ●2, 3분이면 입고 벗는 ‘반바지 로봇’ 김정 KAIST 기계공학전공 교수와 한창수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