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생시킨 죄목으로 구속했다. 이들은 전문가들의 말을 듣고 지진을 대비하지 않고 집 안에 머물렀던 사람들이다. As the experts were sentenced to six years in prison, more than 5200 international researchers signed a petition in support to their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있는 염색물감과 잉크젯프린터용 잉크도 연구 중이다. 개발에 성공한다면 누구나 집에서 배기가스로 만든 잉크로 서류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샤르마 씨는 “처음에는 자동차 매연을 줄여보자는 생각에서 에어잉크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지금은 사람들이 에어잉크를 통해 환경보호의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가면 추위의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친구인 여우와 집을 나섭니다. ‘네버 얼론’의 아름다운 이야기는 알래스카 원주민 이누피아트족의 설화 ‘크눅사유카’에서 왔습니다. 눈보라를 멈추기 위해 길을 떠나는 소년의 이야기예요. 9개월이나 되는 알래스카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친구들은 LED 조명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아마 집에 LED 조명이 설치돼 있는 친구도 있을 거예요. LED는 백열전구보다 전기는 80% 이상 적게 쓰고, 수명은 25배나 길어요. 그만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지요. 우리 함께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볼까요?” 기자단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후 화려한 삶을 누리고 있다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은 뒤 시술을 결심한다.2. 몸집만한 노란색 장미를 든 사프라넥. 소인국의 세상에는 현실세계의 물건을 판매하는 시장도 생겼다. 3.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 최초의 소인국 사람들. 보드카한 병이면 소인국의 모두가 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집 주변에 사는 길 고양이들이 많은 경우에도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집에 사는 반려묘들의 관계는 아주 미묘한 만큼 신경 써서 관찰하지 않는다면 그 관계를 알아차리기 어려운데요. 동거묘들끼리 서로 핥아주는지, 온몸을 스치며 인사를 하는지, 자주 같이 잠을 자는지 등을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연결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이 답변을 작성한다면, ‘(가)의 버스, 지하철과 집은 서로 다른 공간입니다. 서로 다른 공간이 컴퓨터나 TV 같은 신호체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됩니다. (나)의 부모와 자손은 서로 다른 시간입니다. 서로 다른 시간이 DNA라는 물질에 의해 생명의 연속을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글지글. 전이 노릇노릇 구워지고 있습니다. 집 안 가득 고소한 기름 냄새가 가득 차니 설이 코앞이라는 사실이 실감나네요. 지역마다 명절에 부치는 전 종류는 다양하겠지만 ‘국 ... 단백질끼리 결착하면서 반죽이 더욱 끈끈해집니다. 물론 동그랑땡도 훨씬 단단하고 맛있어집니다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카렌족 마을에서는 코끼리에게 먹이를 줬고, 아카족 마을에서는 전통적인 흙집을 살펴봤습니다. 고산족과 가까워지기에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자연과 함께 건강하게 사는 법을 고민하는 귀한 시간이었답니다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목적지까지 걸어가는 미세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다리 한 개에 달린 발 두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