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등 사용자 행동 특징을 암호로 이용하는 것. 예를 들어, 홍채는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 때 쓰이는 근육인 조임근은 사람마다 다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같을 확률은 10억 분의 1 밖에 되지 않는다.생체 정보를 이용하면 암호를 따로 외울 필요도 없고 유출될 염려도 없어,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기록은 연속적으로 달라진 다. 전등에서 나오는 빛도 마찬가지다. 전구의 저항 값을 조절하면 원하는 빛의 세기를 마음대로 정할 수 있 다(고 우린 믿는다).그런데 플랑크가 제안한 새로운 에너지 공식에 따 르면,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와 플랑크상수를 곱한 값 의 정확히 정수배만 될 수 있다. 하지만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실을 염색하는데, 말리는 시간을 꼼꼼히 기록해 같은 계열의 색이라도 채도★를 다르게 조절한다. 실은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만들어 사용한다. 모두 환경을 생각해서다.이런 염색 방식은 실뿐만 아니라 물감을 만들 때도 사용한다. 카르호프가 색칠한 도자기 세트를 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모두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보는 것이다. 눈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어, 실제 실험보다 훨씬 정교하다.덤으로 실험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 노력도 아낄 수 있다. 이전에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실험-오류-수정 후 재실험’을 무한정 반복할 수밖에 없었지만,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낼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처마의 각도를 바꾸면서 실내에 들어오는 햇빛을 조절하는 모습도 상상해볼 수 있다.한옥 호텔외국인 관광객이 한옥에 머무를 수 있도록 호텔을 한옥으로 지을 수도 있다. ‘부산 코모도 호텔’은 조선시대 왕궁을 그대로 재현한 독특한 외관을 자랑하며, 각 ... ...
- [과학뉴스] 간암 잡는 물질 찾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톨릭대 의대 교수팀은 ‘마이크로RNA-221’이 암 억제 유전자인 ‘HDAC6’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이크로RNA-221이 줄어들면 암 억제 유전자가 증가해 간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됐다. 반대로 마이크로RNA-221이 많이 발현되면 암 억제 유전자가 줄어들어 암세포가 성장했다. 연구 결과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피아노, 바이올린, 색소폰 등 원하는 악기를 골라 음의 세기와 멜로디, 리듬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발라드, 힙합, 팝 등 마음에 드는 장르도 선택 가능하다. 큐베이스뿐 아니라 가상악기 80개를 연주할 수 있는 개러지 밴드(Garage Band), 전자음악에 최적화된 에프엘 스튜디오(FL studio) 같은 작곡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해하기 쉽다). 페스토는 이를 위해 로봇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와 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어를 결합시켰다. 외형도 움직임도 커다란 갈매기와 유사한 이 로봇은 ‘테드(TED)’를 통해 알려지면서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맨 위 사진).물총새 머리 ▶ 고속열차새에게 배운 점은 날개뿐만이 ... ...
- [과학뉴스]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쾌락을 조절하는 도파민은 일생 동안 뇌를 지배한다. 특히 쾌락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하게도 하는데 최근 그 과정이 밝혀졌다. 미국 솔크대 분자신경생물학과 살라사니 스리칸스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쪽에는 먹이를 많이, 다른 쪽에는 먹이를 조금 주는 실험을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게다가 X선 자체도 나왔다가 안 나왔다가, 굉장히 불안정했죠. 그걸 우리 연구에 맞게 조절하는 과정이 어려웠습니다.”최근에는 화학 결합이 생성되는 과정을 관찰해 학술지 ‘네이처’ 2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앞서 말했듯, 분자 결합이 끊어지는 것보다 결합이 형성되는 순간을 관찰하는 게 더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