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조절
하는 스마트 주택 기술이나,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조울조울’ 감정 기복 심한 사람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연구팀은 ‘ADRA2b’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정을
조절
하는 뇌 부위가 과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감정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뜻이다. 레베카 토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위해서는 물 속에 잠긴 부분에 거대한 공간이 있어야 해요. 깊이와 파도에 따라 부력을
조절
해 인공섬의 높이를 적당히 맞춰야 하지요. 이 공간을 이용하면 인공섬 아래에 특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어요.사실 인공섬 아래는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공간은 아니에요. 햇볕이 들지 않기 때문이지요. 물은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자기장을 걸어 로봇을 움직이는데, 이 방법으론 으론 뇌혈관 안에서 움직임을 미세하게
조절
하기 힘들다.박종오 전남대 교수가 이끄는 박테리오봇 융합연구단은 마이크로 로봇에 박테리아를 붙여 동력 문제를 극복했다. 박테리아가 특정 물질(혈관형성촉진인자 등)을 쫓아 특정 위치(암세포 등)까지 ... ...
서서 공부하면 능률이 쑥~!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건강과학센터 마크 벤덴 교수팀은 초등학교 2~4학년 학생 158명에게 키에 맞춰 높이
조절
이 가능한 새 책상을 지급해 서서 수업을 듣게 한 뒤, 수업 참여도를 조사했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거나 손을 들고 발표하면 수업에 집중한다고 간주했고 수업과 관계 없는 말을 하면 집중력이 떨어진 것으로 ... ...
과학기술 대중도서 ‘이지 사이언스 시리즈’ 발간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너지 핵융합’ ‘차세대 고속열차’ ‘식품의 나트륨 채널
조절
’. 전혀 연관이 없는 것 같은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우리나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선도하는 연구개발(R&D) 분야라는 점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1개 출연연과 공동으로 이런 연구 성과를 쉽고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손으로 부력재를 붙인다. 그러나 수중 모드 전환은 시간 문제다. 전봉환 실장은 "부력
조절
장치를 탑재해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헤엄치다가 걷기도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수중과학 열 것"다시 성원 3호를 타고 항구로 돌아오는 길, 탁하기만 한 서해 바다가 달리 보였다. 바다를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쥐의 ‘입맛’을 비교했다. 그 결과 TNF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상 쥐가 쓴맛에 훨씬 더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면 감염을 막기 위해 TNF가 많이 만들어지고,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
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연구팀은 양자점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입자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때문이다. 그는 요즘 의학에서 새로운 연구주제를 찾아나가고 있다. 세포의 물질 전달을
조절
하는 것은 거의 모든 질병 치료의 기본이다. 실제로 그가 주로 연구하는 효모는 백신과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숙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한국 학생들에게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