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서로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있단 사실을 알게 됐고, 잠망경을 통해 잠수함에서 물 밖을 어떻게 내다보는지도 배웠지요.10살 소녀 ‘뿌남 쟌두’는 “오늘 수업에 참여하려고 1시간을 걸어 학교에 왔다”며 “실험수업은 처음이라 정말 재미 있었다”고 말했답니다.동아사이언스 기자들의 이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미들도 그곳을 떠나야 했어요. 개미집은 안전했지만, 먹이 활동이 이뤄지는 개미집 밖은 황폐화 됐거든요. 이 때문에 개미들은 그곳에서 죽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했고, 4개월 후에는 개미의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됐답니다.이렇게 산불로 숲을 떠난 동물들이 다시 돌아오는 데는 오랜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에 도전해 봤다. 클래식 스도쿠 하나를 푸는데 15분을 허비한 탓에 8문제 중 3문제밖에 풀지 못했다. 그렇다면 곽 주장은? 8문제를 10분 만에 모두 해결했다. 기자가 15분 걸려 푼 문제도 1분 만에 풀어버렸다. 짐작대로 실력이 대단했다. “처음부터 스도쿠를 잘했던 건 아니에요. 스도쿠를 처음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를 깨닫고 도움을 요청해 보지만 늦었나 봅니다. 벽이 높고 단단해 아무리 소리쳐도 밖에서 대답이 들리지 않습니다. 고뇌하던 핑크는 자신이 쌓아온 벽에 대해 책임을 묻기 위해 스스로 재판을 엽니다. 증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어렸을 적 핑크는 사회 문제에 목소리를 내던 아이였습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 프로그램은 네가 만든 게 아니라는 소리냐?”“…네….”솔직하게 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 곧이어 누가 만들었냐는 질문이 나올 텐데, 엄마 얘기를 해야 하는 건지 아닌지 판단이 서지 않았다.“네가 아무리 영재학교에 다닌다고 해도 이걸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어. 누가 네게 시킨거지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견되기도 해요. 과학자들은 공룡들이 구토를 하는 과정에서 위 속에 있던 위석이 몸 밖으로 나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이 위석들을 잘 연구하면 공룡들이 얼마나 먼 거리를 이동했는지도 밝혀낼 수 있지요. 이처럼 위석은 공룡의 식성뿐만 아니라 이동까지도 알아낼 수 있어 과학자들의 ...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고리를 가진 소행성 ‘커리클로’가 발견되면서 이런 통념이 깨졌고, 이번에는 소행성대 밖에 있는 왜행성에서 고리가 발견되면서 다시 한번 확실해졌다. doi:10.1038/nature2405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출력 시스템을 요한다. 전투기는 물론이고, 초인적인 힘을 가진 슈퍼맨에게도 부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섬유를 사용해 레이저 발생기의 크기를 줄이고 출력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하다. 필자가 속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고출력광섬유 레이저 혁신기술 개발 사업단은 2012년부터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결과를 낸 마테오 마티니 영국 이스트런던대 교수팀은 인지(cognition)상을 받았다. 이 밖에도 길이 1m가 넘는 악어를 접촉하면 도박 욕구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매튜 록로프 호주 CQ대 교수팀은 경제학상을, 호주 원주민의 전통 악기 디저리두(didgeridoo)가 코골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닳지 않도록 국제도량형국(BIPM) 금고에 넣어 보관하면서 1950년, 1992년, 2014년 딱 3번 밖에 사용하지 않았는데, 꺼낼 때마다 원기의 질량이 조금씩 줄어 있었다. 그 결과 원기 대신 각 나라에 배포한 복제본의 질량도 잘못된 셈이 돼 버렸다. 1992년 국제도량형국 원기를 이용해 국가 원기들을 교정하고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