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내릴 땐 골판에 혈액을 흘려보냈어요. 그럼 혈액은 외부 공기에 닿아 가지고 있던 열을 밖으로 내보내고, 체온을 내릴 수 있지요. ‘빨강’으로 신호를 보내다!가장 최근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검룡류 공룡들은 ‘신호’를 보내기 위해 골판을 사용했을 거라고 해요. 어떤 특수한 상황에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돌기가 핵심이지요. 수분이 있는 물체에 문어의 빨판을 대고 누르면 수분의 일부는 빨판 밖으로 밀려나고, 나머지는 빨판 안으로 들어와요. 이때 물체를 누르고 있던 힘을 빼면 빨판 안으로 들어온 수분이 순간적으로 이동해 돌기 사이를 채우지요. 결국 물체와 빨판 사이는 빈 상태가 돼요. 즉,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우리의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어.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습니다. 심장이 있는 왼쪽 가슴에 극심한 통증이 오는 것이 전형적이죠. 그러나 그밖에도 증상이 다양합니다. 통증 없이 구토를 하는 경우도 있고요. 느닷없이 호흡이 힘들거나, 식은땀이 나거나, 어깨나 턱, 팔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도 전조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체한 듯 배가 아파 병원을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추측을 남에게 말해준 적이 없다. 금성 가설보다도 훨씬, 훨씬 농담 같은 이야기니까. 입 밖으로 꺼내기조차 꺼려지는 이 가설이 불현듯 떠올랐을 때, 나는 기생충학자 정 박사의 연구 결과를 전해 듣고 있었다. “그 샘플 말인데요, 표면에 뭐가 살고 있더라고요. 박테리아말고요. 더 큰 녀석.”“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과제는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는 과학적 우수성이다. 논문 수나 임팩트 팩터(IF)가 아니라 아이디어의 독창성, 학계에서의 영향력,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간의 심장은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위와 비장(지라) 역시 왼쪽에 있고, 오른쪽에는 간이 위치합니다. 폐의 경우도 좌우 대칭으로 보이지만 사실 왼쪽 폐는 두 개의 폐엽으로, 오른쪽은 세 개의 폐엽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대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죠. 그런데 17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저는 모로코 남서부 지역에 사는 염소예요. 제가 사는 곳은 연평균 강우량이 300mm밖에 되지 않는 건조한 지역이어서 먹을 수 있는 풀이 많지 않아요. 나뭇잎이 유일한 먹이일 때가 많지요.사람들도 아르간 나무를 좋아한다며?아르간 나무는 모로코에서 매우 중요해요. 염소의 먹이가 되어 줄 뿐만 ... ...
- [과학뉴스] 따뜻하면서 시원한 옷, 개발될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소재에 따라 옷의 안과 밖의 온도가 다른 ‘양면 옷’이 개발될 가능성이 열렸다. 이 쿠이(Yi Cui)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한쪽 면은 열을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쪽 면은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양면 직물을 개발했다. 쿠이 교수는 평소 에너지 효율과 절약에 관심이 많아, 에어컨이나 히터를 틀지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생물 가운데 존재나 이름이 알려진 종은 200만 여 종에 불과해요.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수천만 종의 생물이 이름을 갖지 못한 채 어딘가에서 살고 있을 거라고 보고 있지요. 이들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멸종해 버린다고 해도, 우리는 그 사실조차 알 수 없어요. 우리가 생물의 존재를 찾아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