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알아? 컴퓨터공학자나 물리학자만큼 수학자도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는 것!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소개해줄게. 양자컴퓨터의 압도적인 계산 능력은 우리 삶을 훨씬 편하게 만들어 줄 거야. 그런데 양자컴퓨터가 반드시 밝은 미래만 가져오는 건 아니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졸업생 중에 많기 때문이다. 스프링 위크 참가자를 모집하는 기업 중에는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전공생만 받겠다는 곳도 많다.3학기까지 마치고 나면, 3개월이 조금 넘는 긴 방학이 찾아온다. 대부분의 2, 3학년 학생은 이 기간에 인턴 활동을 한다. 보통 2개월 정도 진행하는데, 스프링 위크에 ... ...
- 두려움에 맞서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지난 2월 12일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단장과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팀이 그 원리를 밝혔어요. 먼저, 연구팀은 쥐에게 ‘삐~’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줬어요. 그럼 쥐는 ‘삐’ 소리만 들어도 전기 자극에 대한 공포를 느꼈지요. 그 다음 쥐에게 빛을 이용해 ...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턱에는 흰 수염이 가득하다. 로봇이 늙는 게 가능한 일일까. 스티브 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시간에 따라 사람처럼 노화가 일어나는 전자피부를 제작할 수는 있다”면서도 “연구자들이 굳이 성능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재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기술적으로 피부 노화를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기능을 하는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기기로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박영근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다양한 소재들의 고해상도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신체 표면에 붙이거나 신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younggeun ... ...
- [납량특집] 몬스터, 공포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면장애클리닉 소장), 정수영(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이민지(고려대학교 뇌공학과 박사과정), 박진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김은정(아주심리상담센터 센터장), 백진희(기초과학연구원 연구원(KAIST 박사과정), 홍규상(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게티이미지뱅크 ... ...
- [과학뉴스] 인공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AI)을 이용해 새로운 초압축성 신소재를 개발했다.미구엘 베사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재료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이 별도의 실험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AI의 기계학습만으로 새롭고 강력한 초압축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그간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인한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다가올 DNA 수사 시대는생명공학 기술과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DNA 감식 분야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조금씩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한 첨단 DNA 감식기술을 정리했다. 1 DNA 몽타주 기술DNA의 유전정보를 이용해 범인의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교수, 스탠리 휘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조대 교수 등 공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사실 리튬이온전지 수상은 ‘이제서야’라는 수식어가 더 어울린다. 구디너프 교수가 리튬이온이 삽입된 코발트산화물이 4V의 전압을 만든다는 것을 증명한 게 1980년이고, 이를 바탕으로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자가 해동 연구에 매달리고 있으니까요. 대표적으로 존 비쇼프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작은 철(Fe) 입자를 이용해 동물의 생체 장기를 손상 없이 빠르게 녹이는 연구 결과를 2017년에 발표했습니다. 비쇼프 교수팀은 작은 철 입자를 섞은 동결억제제를 이용해 장기를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