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덩치가 크고 느리게 움직이도록 주문했다. 대회 총책임자인 김종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2018년 제1회 대회에서는 선수 5명의 포지션을 자유롭게 세팅할 수 있게 했더니 공격수가 많은 팀이 무조건 유리했다”며 “4명이 공격하고 1명이 수비하는 팀은 5명을 전부 공격수로 내세워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알아? 컴퓨터공학자나 물리학자만큼 수학자도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는 것!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소개해줄게. 양자컴퓨터의 압도적인 계산 능력은 우리 삶을 훨씬 편하게 만들어 줄 거야. 그런데 양자컴퓨터가 반드시 밝은 미래만 가져오는 건 아니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Part4.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 도움 김동규(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김이식(YISHAN LINKS 대표이사), 이준호(LH 스마트도시개발처 차장), 이형길(LH 스마트도시개발처 과장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쓰이려면 잘 정제돼야 하고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하죠.” _김동규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데이터가 많을수록 그 속에서 제대로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다음엔 정제한 데이터를 어느 문제에 연결할지 고민해야 빅데이터를 제대로 쓸 수 있다는 거예요.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고요?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행성방위학회’는 소행성 충돌 사건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전세계 천문학자와 공학자가 2년에 한 번씩 여는 학회예요.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관측하고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공유하지요. 가상의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진다고 가정해 모의 훈련도 해요. 올해는 4월 29일에서 5월 3일까지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반도체 설계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설계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숭실대 IT대학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이며 과학소설가,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 컴퓨터통신망 연재 과학소설 ‘아틀란티스 광시곡’을 비롯해 다수의 과학소설 및 과학칼럼을 출판하고 연재했다. sslee@ssu.ac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함께 일어나는 작용입니다. 참으로 낭만적이지 못한 생각이죠. 만약 마음이 이런 공학적인 작용일 뿐이라면, 낭만적이지는 않아도 로보트 재권V에게 마음을 심어주는 것은 가능해 보입니다. 로보트 재권V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세상을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그르노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생명공학벤처 클리나텍 연구팀이 뇌 신호만으로 걷고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엑소스켈레톤)을 개발하고, 팔과 다리를 못 쓰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이 로봇을 입혀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내용은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전지가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이 교수는 “한번 쓰고 버려야 하는 일차전지와 달리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결정하는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