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과학동아 l1997년 06호
- M24는 맨눈으로도 보이는 별구름으로 오메가성운으로부터 2도 정도 떨어져 있는 남쪽 은하수의 밝은 지역이다. 이 큰 별구름의 겉보기 쿠기는 2도×1도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별구름 속에는 산개성단 NGC6603, 코구멍같이 생긴 암흑성운 B93과 B92가 있다 ...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과학동아 l1997년 05호
- 일은 없다.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질량의 약 2백만배이고, 안드로메다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질량의 약 3천만배이다. 그러므로 그곳에 가더라도 죽는 일은 없지 않을까. 물론 밀도가 낮은 블랙홀 표면에서의 이야기다.1. 우주선에서 빠져나온 비행사가 블랙홀에 빠지는 ... ...
- Ⅱ. 블랙홀 과학사 : 1. 파란만장한 블랙홀 자서전과학동아 l1997년 05호
- 사람은 없어졌다.게다가 현대 천문학의 상징처럼 돼 버린 허블우주망원경은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우리 태양계만한 거대한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도 믿게 만들고 있다. 이들 블랙홀은 질량이 최소 해의 1백만배에서 최대 수십억배에 이르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들의 진화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진 ...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과학동아 l1997년 05호
- 에너지 메커니즘들이 활발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덩치가 크지만 핵은 어두운 은하의 중앙에 '굶어 죽은' 거대한 블랙홀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는 흥미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셈이다.호기심 자극하면서 지식 체계화어느날 갑자기 태양이 블랙홀로 변한다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 혹시 검게변한 ... ...
- 오리온자리과학동아 l1997년 04호
- 젊고 푸른 별들의 집단이다. 반면에 우리 은하 전체에 골고루 퍼져 있고, 특히 은하 중심부에 밀집돼 있는 구상성단은 비교적 늙고 붉은 별들의 집단이다.변광성이란 무엇일까변광성이란 밝기가 변하는 별을 말한다. 변광성은 별이 불안정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기 때문에 광도가 변하는 ... ...
- 국립중앙과학관과학동아 l1997년 04호
- 지구, 인류의 등장으로 이어지는 ‘우주에서 인간까지’. 우주의 시작과 진화, 우리 은하의 구조, 한인의 변천사, 육식공룡의 골격 등이 소개된다. 다른 한가지 주제는 우리나라 지질, 동물, 식물을 소개하는 ‘우리나라의 자연’이다. 한반도의 생성과정을 비롯해 동·식물의 화석, 지형별 광물분포, ...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과학동아 l1997년 04호
- 1천2백Å부터 근적외선까지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그러나 이제는 초기우주와 은하형성 등 우리 사고의 지평을 확장시켜 줄 거대 적외선망원경이 필요하게 됐다. 현재 적외선우주망원경의 지름은 기껏 1m 미만. 이를테면 우주 저편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좀 더 미세하게 들을 수 있는 저음에 강한 ...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과학동아 l1997년 03호
- 해석한다.이와 같은 해석을 위해서는 특정 시간에 태양계의 행성들과 지구에서 바라본 은하계의 별자리들이 지상의 특정 장소를 둘러싸도록 작성한 그림이 필요하다. 이 그림은 천궁도(天宮圖)라 불리고, 특히 개인의 출생시를 나타내는 천궁도는 출생천궁도(Natal Horoscope)라고 하며, 이것의 해석을 ...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과학동아 l1997년 03호
- 몸에 있는 정보를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여 차곡차곡 쌓는다면, 그 높이는 은하계 폭의 세배, 즉 1만광년에 달하게 된다.저장하는데 성공한다고 해도, 그 정보를 전송하는 일 또한 만만치 않다. 현재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는 고작해야 1초에 1백MB정도가 가능하다. 이 정도 ...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있을지 모른다고 세이건은 결론내리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강했던 신호들은 대부분 은하면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세이건은 또한 1990년 12월 갈릴레오 탐사선이 지구 대기권 밖을 비행할 때 우리 지구에 물과 유기분자가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지 시험했다. 결과는 얼마든지 확인할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