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인류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향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해주는 영역인 대뇌는 냄새가 들어온 후 공통적으로 0.6초 이후에 활성화되었어요. 즉,
우리
는 향기인지 악취인지 알아차리기도 전에 악취에 먼저 반응한 거예요.DGIST 문제일 교수는 “썩은 냄새와 같은 악취는 생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며 “악취를 담당하는 시냅스●는 1개뿐이라 스위치를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쓰레기를 줍는 줍깅을 실천하며 지구의 미래를 지켜나가는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우리
가 살아가는 지구와 환경을 위해 여러분도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에 함께해 주세요! 지구를 지키는 영웅이 되어 주세요! 따분행! 캠페인 한루아 기자음료수병 라벨 제거 완료!플라스틱 음료수병의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아랫부분을 여러 번 분리해 무게를 줄이기도 해요. 편도체(扁桃體, amygdala)편도체는
우리
뇌에서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 끝에 달린 작은 아몬드 모양의 조직입니다. 주로 불안과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포는 위험을 피하려는 생존 본능과 직결된 ... ...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4호
있는 저 풍경은 과연 캔버스 위에 그려진 그림일까요? 아니면 창문 밖 실제 풍경일까요?
우리
눈이 캔버스 속 그림과 창문 밖 풍경을 구분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평행선 때문이에요. 직사각형 캔버스의 윗변과 아랫변을 이루는 두 개의 평행선은 바깥 풍경 속 평행선과 쭉 이어져 있어요. 오른쪽 ... ...
[별별 우주기네스] 공전주기가 가장 긴 천체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4호
이유는 무엇일까요? 365일은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에요. 만약
우리
가 수성에 살았다면, 1년은 88일이었을지도 몰라요. 수성이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는 88일이 걸리거든요. 그렇다면 태양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 즉 ‘공전주기’가 가장 긴 천체는 무엇일까요? 우주 기네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 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4호
+본책 54쪽과 함께 보세요! 해롱 호의 새로운 임무는 유령 찾기! 무시무시한 유령이 나타난다는 곳에 혼자 들어가다니, 딱지는 정말 용감해!
우리
도 함께 미션을 해결해 보자! ...
[기획]
우리
도 달 간다!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손에 쥔 나의 모든 것, 지금부터 알려 줄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우리
도 달 간다!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Part1. [기획] 다누리 발사만 남았다!Part2. [기획] 다누리 성공을 결정짓는 것은?Part3. [기획] 다누리 달에서 할 일은 ... ...
[기획] 다누리 달에서 할 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Q어린이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있으신가요?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
나라는 국제 우주개발 협력국에서 파트너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됐습니다. 세계 7번째로 실용위성을 자력으로 우주에 보낼 수 있음을 입증한 덕분이죠.어린이 독자분들이 이번 기회로 과학기술에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진짜를 지켜주는 디지털 신기술 NFT!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것입니다. “NFT는 000이다! 왜냐하면~”의 문장을 완성하면서 NFT가 무엇인지, 이 기술이
우리
에게 왜 중요한지 생각해 봅시다!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우주 먼지를 유성체라 부르는데 크기가 천차만별입니다. 모래알 정도의 크기는 되어야
우리
눈에 유성으로 보이지요. 별똥별의 속도는 초속 약 11km에서 초속 72km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유성체는 보통 약 100km 상공에서 불타며 빛이 나기 시작해요. 이곳에는 공기 분자가 희박한 농도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