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머리 갸웃거리는 이유는 ‘입체감’ 느끼려고새들은 멀리 보지만 좁게 본다. 대부분은 옆을 보기 위해 주로 머리와 목을 돌린다. 올빼미는 머리를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270°다. 집비둘기는 전체시야는 340°지만 두 눈 시야가 24°다. 먹이를 추격할 때 입체적으로 보면서 거리를 측정해야 하는 매가 ... ...
- [수학뉴스] 전신마비 환자의 목소리가 된 곱셈!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예’라고 대답할 때만 화면 옆에 있는 두 자리 곱셈 문제를 암산하도록 했다. 만약 대답이 ‘아니오’면 가만히 있으라고 했다.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카메라로 눈을 촬영해, 동공이 커지면 ‘예’라는 표시로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실험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측정했다면 아마도 위의 연구결과와 같지 않았을까.3. 뇌의 뒤쪽이 활발하고, 좌뇌 옆이 두껍다fMRI나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술)를 이용해 영재의 뇌를 들여다보는 연구도 활발하다. 2005년 이건호 서울대 교수팀(현재 조선대 교수)은 과학고, 일반고, 실업계고에서 일반 지능이 상위 1%안에 드는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잡초같이 보일 정도였다. 이 지역은 헬리콥터로도 둘러볼 수 있지만, 직접 걸으면서 옆에서 느끼는 것이 더 좋다.인간의 감각으로는 짐작할 수조차 없는 오랜 세월 동안 물과 불, 바람, 그리고 생명이 만들어낸 콜로라도 고원의 산과 계곡에서 느끼는 감회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지질학적 규모의 ... ...
- 동물행동학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풀기 위해서는 핀을 뽑고 나사를 잠근 뒤, 볼트를 풀고, 바퀴를 90° 돌린 다음 빗장을 옆으로 밀어야 했다. 자물쇠를 풀면 앵무새가 좋아하는 견과류를 먹을 수 있었다.총 6마리 앵무새로 실험한 결과 ‘피핀’이라는 수컷 앵무새가 가장 먼저 아무런 도움을 받지 않고 2시간에 걸쳐 자물쇠를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거친 물은 더 촘촘한 여과기로 간다. 더 미세한 부유물질을 거른다. 이 여과기 바로 옆에는 ‘산화환원전위(ORP) 센서’가 붙어있다. 산화환원전위란 어떤 물질이 산화되거나 또는 환원되려는 경향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ORP 수치가 낮으면 물이 오염된 것이다. 그러면 오존이나 염소를 투입해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증가하고, 아이스크림은 30℃가 넘으면 25℃일 때보다 매출이 50% 가량 늘기 때문에 계산대 옆에서 쉽게 살 수 있도록 했어요. 반면 신선도가 생명인 우유나 유제품은 기온이 오르면 오를수록 판매가 줄어들어요. 따라서 주문량을 줄이고 가장 안쪽에 배치해요. 이런 전략을 쓴 결과, 한 달 매출이 10~15%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많은 사람을 놀라게 했다.빅독은 특히 뛰어난 균형감각이 자랑이다. 걸어가는 도중에 옆에서 힘껏 발로 걷어차도 넘어지지 않고, 얼음판 위에서 미끄러져도 다리를 바꿔 디디면서 다시금 중심을 잡아낸다. 두발로봇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기술이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최근 성능을 더 높인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름을 돌려주거나 일종의 자유를 선물할 것이다.그리고 언젠가는 별보다 많은 이름이 옆 우주로 흘러들어 갈 날이 오고야 말 것이다.김창규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 부문 수상. SF 창작과 각종 번역에 몰두하며 SF 창작 강의도 병행하고 있다.소설 ‘파수’, ‘세라페이온’, ‘발푸르기스의 ...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만드는 방안을 병원에 권고했다. 병원을 설계할 때도 환기가 우선순위 였고, 병원 옆에 새로 병동을 세우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어서 피했다. 나중에는 환기보다 상처에서 생기는 부패가 더 큰 원인으로 지적됐다. 1840년에는 병원에서 열병이 심하게 유행하면 옷을 갈아입고 부검을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