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행복"(으)로 총 1,464건 검색되었습니다.
- 40년 전에 도난당한 차, 되찾아팝뉴스 l2016.12.07
- 플레밍은 ‘애마’와 오래전 헤어지고 크게 상심했는데 다시 만나게 되니, 끝없이 행복하다고 밝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 ...
- 외로워서 눈물 뚝뚝, 슬픈 솔로 사진 ‘화제’팝뉴스 l2016.12.06
-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다시 유포되며 웃음과 눈물을 함께 선물하고 있다. 다정한 연인이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뒤에 외로운 남자가 앉아 있다. 남자는 연인을 바라보다가 눈물을 훔치는 것처럼 보인다. 마음이 짠해지는 상황이다. 가능성은 두 가지다. 남자가 실제로 운 것이 아니라 눈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2016.12.06
- 많이 달라진다. 스스로에 대해 너그러울 줄 아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행복하며 정신건강상태도 양호한 경향을 보인다(Neff et al., 2007). 또한 삶이 어려워질 때 스트레스를 좀 더 잘 견디며(Leary et al., 2007), 자존감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Neff & Vonk, 2009). 그런데 자신에게 ... ...
- [#촛불집회]집단행동의 심리학(중): 어떤 사람이 시위에 참여하나?2016.12.06
-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2014)을 번역했고,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다 ... ...
- 할아버지가 만든 롤러코스터 ‘인기’팝뉴스 l2016.12.06
- 가야 탈 수 있는 롤러코스터가 할아버지 집 뒷마당에 있다면? 어린 손주들은 대단히 행복한 유년 시절의 기억을 갖게 될 것이다. 미국 시애틀에 거주하는 폴 그레그 할아버지가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항공우주 분야 엔지니어였다가 은퇴한 그는 지난 2년 동안 대공사를 해왔다. ... ...
- [#촛불집회]집단행동의 심리학(상): 시위는 왜 일어나나? 2016.12.05
-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2014)을 번역했고,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다 ... ...
- 백상아리와 사람이 접근한 순간 ‘포착’ 팝뉴스 l2016.12.04
- 바다에서 촬영된 사진들이다. 드론으로 촬영된 사진 속 남성은 테렌스 로치. 그는 행복하게 패들 보딩을 즐기고 있다. 그런데 그의 주변에는 바다의 강력한 포식자가 배회하고 있었다. 바로 백상아리다. 백상아리가 패들 보드보다 크다. 그리고 남자와 백상아리는 20미터도 떨어지지 않았다. 오싹한 ... ...
- 인공지능이 꿈을 꾼다면 어떤 모습일까?동아사이언스 l2016.12.04
- 초현실적인 세계를 상상할 수 있을지 모른다. 웹툰은 인공지능의 발달이 사람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지 아니면 반대로 불행하게 할지 은연중 질문을 던진다. 인공지능이 운전을 하고 기사를 쓰는 시대를 코앞에 두고, 노동해방의 자유를 꿈꾸는 사람보다 일자리를 잃을까 두려움에 떠는 사람이 많다. ... ...
- [까칠한 황약사]청와대 구입 타미풀주 1080개면 1~2일에 한대씩 가능2016.12.04
- 프로포폴과 일견 비슷해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프로포폴처럼 'euphoria(다행증, 행복감을 느낌)'를 일으키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즉 약물에 심리적으로 의존하게 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마취과 임상현장에서는 중증외상이나 패혈증(패혈성 쇼크) 같이 위험한 상황에서 ... ...
- [지뇽뇽의 色수다] (ep2) 완벽주의가 성관계만족도를 망친다2016.12.04
- 문제제기가 있었다. 이들이 여성의 자존감을 떨어트리고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해치며 행복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은연중에 파트너에게 완벽을 강요함으로서 성생활의 기쁨마저 저하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