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71건 검색되었습니다.
"렘데시비르 여전히 '유망'…리바비린 '속빈' 강정" 코로나19 치료제 중간 점검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효과가 불분명하고 잠재적 독성은 높아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가치는 별로 없다”고
결론
내렸다. ●렘데시비르 : 여전히 꺼지지 않은 희망의 촛불. 하지만 낙관은 금물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주목 받은 후보물질이다. 리바비린과 비슷하게 RNA 염기분자 유사체로 복제를 방해해 바이러스 증식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클로로퀸'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2020.04.14
발표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코로나19의 효과에 대한 보고는 대조군이 정확하지 않아
결론
을 내리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아무래도 정확한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 원문 출처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노래의 언어 정보와 음악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결론
부터 말하면 언어 정보의 핵심인 단어는 좌뇌에서, 음악 정보의 핵심인 멜로디는 우뇌에서 주로 처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가 노래를 감상할 때 노랫소리라는 하나의 음파를 좌뇌와 우뇌에서 각각 별도의 ... ...
"국산 당뇨 합병증용 신약후보물질 코로나19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보이는 간수치 상승 등의 부작용도 없었다”며 “다른 후보물질과 경쟁해볼 만하다는
결론
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수진 압타바이오 대표는 “APX는 인체세포의 녹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변이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 ...
KIST, 설립 54년만에 첫 신임 원장 선임 ‘불발’...연구회 재공모 추진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과반 득표자가 없어서 선임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사실상 ‘적임자가 없다’는
결론
이기 때문이다. 연구회 관계자는 “이번 선임 과정에서 최종 후보에 오른 분들이 다시 재공모에 지원하면 안된다는 규정은 없다”며 “다만 관행적으로 다시 지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약 2억년 전 공룡 알 화석 속 배아 두개골 3D 복원
연합뉴스
l
2020.04.10
이는 지난 2억년간 파충류의 배아 발달단계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
을 내렸다. 논문 공동저자인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의 요나 코이니어 교수는 "2억5천만년 이상된 파충류 진화 과정에서 배아단계 두개골 발달 방식이 거의 똑같게 유지된 것은 놀라운 것"이라고 밝혔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인공지능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 예측
2020.04.10
발견되는 18개 증상을 구분해냈다. 연구진은 폐 CT 영상과 함께 이들 18개 지표를 종합해
결론
을 내린다면, AI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IT기업 알리바바는 실제로 폐 CT를 통한 AI 검진시스템을 지난 2일부터 실전에 도입했다. 알리바바의 AI는 폐 CT 사진을 분석하고, ... ...
밀접 접촉자 빠른 격리 조치 효과 뚜렷하다...입국자 격리 효과는 미미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유일한 연구라고 소개하면서도 “당시 2차 감염이 일어난 환자가 없고 환자 수가 적어
결론
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격리 조치를 빠르게 취할수록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 또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코크란 연구팀은 미국 미시건대 연구팀이 캐나다 토론토의 2003년 사스 전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
2020.04.09
미국면역학회는 투표를 통해 IEG의 면역학그룹이었던 IGE5는 폐기되어야만 한다고
결론
내린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 기회에 아예 정보교환그룹을 박살내기로 했다. 사설을 통해 핵물리학자들의 정보교환그룹인 PIE를 “극악하고, 계도되지 않은 열정으로 과학자 사회가 위험해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자극’이 뇌로 하여금 배고픔이나 갈증이 해소되는 느낌을 갖게 한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물리적 자극은 껌을 씹거나 가글만 해도 식욕과 갈증을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것처럼 일상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일이다. 풍선 실험을 응용해 '위풍선술'이라는 식욕 제어 시술법이 2015년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