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7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진짜 시작을 알고 싶어" 과학자들 지금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수산물시장에서 동물과 인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했다는 가설에 대해 “이 가설이 최종
결론
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터너 교수는 그 근거로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타입의 바이러스는 동물 생태계에서 항상 순환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례로 미국 미국 뉴욕 동물원에서 ... ...
쥐도, 햄스터도, 영장류도 나섰다…코로나19 해결 나선 실험동물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5
경증 또는 중간 정도의 증세를 보이는 코로나19 감염 동물 모델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결론
을 내렸다. 최근 중국 생명공학기업 시노백은 자체 개발중인 백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붉은털원숭이 8마리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거쳤다. 23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따르면, 중국 기업 시노백 ... ...
[표지로 읽는 과학]폭우는 어떻게 킬라우에아 화산 분화를 유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5
침투해 공극압에 영향을 미쳐 지중에 있던 마그마가 분출하면서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고
결론
내렸다. 실제로 킬라우에아 화산이 폭발하기 전 두달 가량 하와이는 비정상적으로 강수량이 많았다. 연구팀은 킬라우에아 화산 폭발 역사와 강우량의 연관성도 분석했다. 이 화산의 분화 활동 60%가 ... ...
코로나19 희망의 치료제 렘데시비르, 첫 임상 실패 논란…회사측 반박 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포함하고 있다”며 “낮은 참여율로 조기에 검사가 종료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론
에 이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렘데시비르는 유망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로 꼽혀왔다. 세포실험에서 적은 양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줄이는 효과가 확인됐다. 경쟁자인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8분의 1, ... ...
'얼음 없는 북극 여름' 2050년 이전 현실화 예측
연합뉴스
l
2020.04.22
트렘블레이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신 기후모델 40개의 예측 결과를 분석해 이런
결론
에 도달했으며,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는 세계 21개 연구기관이 참여했다. 맥길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렘블레이 연구팀이 분석한 ... ...
'클로로퀸' 국내 임상 모두 '음성' 나왔다는데…저자들 "코로나19 예방효과 단정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효과라 단정할 수 없다”며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코로나19 예방효과에 대한
결론
을 도출하려면 향후 무작위 대조군을 활용한 추가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화학요법학회지’ 17일자에 실렸다. ... ...
英 세계 최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대한 사람들의 기대치를 완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
이 나오면 항바이러스제와 항염증제를 병용할 경우 임팩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텅빈 우주 아닌 이유’ 중성미자 관측에서 단서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8
탐지해 두 입자의 진동변환 특성이 다름을 추정해 대칭 깨짐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추가 데이터가 쌓이면 보다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벨재단 제공 연구팀은 JPARC를 조절해 뮤온 중성미자와 뮤온 반중성미자를 각각 발생시키게 한 뒤 슈퍼 카미오칸데에서 ... ...
코로나19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떻게 증식할까...게놈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4.17
2의 증식도 막을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아직
결론
을 내리기엔 연구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중국 연구팀이 10일 '사이언스'에 공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RNA 복제 및 전사효소 'RdRp'의 상세 구조다. 아래 알록달록한 부분이 비구조단백질(nsp)12이고, 위 회색이 nsp ...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2022년까지 필요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간헐적 사회적 거리두기는 2022년까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향후 5년간 환자 수와 감염 수준, 집단면역 등이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과 수준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이같은 사항을 알기 어려우며 장기적인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