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 비말은 기침이나 재채기, 혹은 대화할 때 침에서 나오는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의 입자 분비물이다. 이 속에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데, 비말은 약 2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비말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밀접 접촉을 피하고, 마스크를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낯선 바이러스들은 대부분 야생동물을 한 번 거쳐 인간에게 옮겨온다.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 증후군)를 유발한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H사슬 2개와 가벼운 분자량을 갖는 L사슬 2개로 분리됐다. 무거운 사슬의 총 분자량은 100kDa(킬로달톤·1달톤은 1g/mol), 가벼운 사슬의 총 분자량은 44kDa이었다. 에델먼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항체의 분자 구조를 추정했다. 그 결과 무거운 사슬은 Y자의 뼈대를 이루고 있으며, 가벼운 사슬은 Y자의 양쪽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단한 선방이었다. 이후 발표된 3상 임상시험 결과에서도 어베보의 감염 예방 효과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어베보는 2019년 최초의 에볼라 백신으로 승인받았다. 다사다난한 백신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는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증식과정에서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 ...
- [DJ 맹추의 수담수담] 수학을 빛낸 신스틸러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담긴 300쪽짜리 풀이와 함께 풀이 검토를 맡은 심사위원에게 아이디어를 설명한 100쪽 분량의 설명집을 제출했습니다. 푸앵카레의 풀이를 검토한 미타그레플레르는 이내 ‘푸앵카레가 우승했다’고 발표했고, 이제 남은 일은 푸앵카레의 풀이가 담긴 학술지와 설명집을 출판하는 것뿐이었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양을 조사했습니다.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입니다. 소금이 포함된 음식까지 고려하면 체내에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더 늘어나겠죠. 김 교수팀은 한강,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강도가 높은 운동을 할수록 에너지가 추가로 더 소모된다. 우유만 먹고 아령을 든다면 100번을 반복하기도 전에 우리 신체는 이미 충분히 배고픔을 느끼게 될 것이다. *용어정리 수직 항력: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면에서 물체에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강체: 외력을 받아도 크기와 모양이 ...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이다. 이 내용은 2016년 국제학술지 ‘에너지 및 환경과학’에 실렸다. doi: 10.1039/C5EE03100A이 부연구단장은 후속 연구를 통해 2019년 아나타제 결정만 비결정화시켜 ‘비결정아나타제-결정루타일 이산화타이타늄’ 제조에도 성공했다. 두 개가 혼합된 결정상에서 각각 한쪽 상만 선택적으로 비결정화 ... ...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약학, 처방전까지 여섯 개의 분야를 다루는 책이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발견 후 약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책의 내용은 물론 어떤 형태의 암호문인지도 알아내지 못했다 ... ...
- 살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ATP)으로 변환되는 복잡한 화학반응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수준의 유전자에 새겨진 ‘숙명’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뇌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호르몬과 신경세포가 작동한 결과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살 없이는 살 수 없고, 살이 너무 많아도 살기 어렵다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