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자의족 기술과, 생각대로 움직이는 전자의수를 만들려는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5개년 프로젝트 등을 소개했다. 휴머노이드와 인공지능처럼 인간을 닮은 기계가 대세인 시기에 반대로 ‘인간의 기계화’라는 또 다른 큰 추세를 짚어 보려는 시도였다.즐거웠지만, 얼마 못 가 기자는 뒤통수를 맞는 ... ...
- [수학뉴스] 세상이 원하는 창의융합 인재, 2016 융합 R&E 전국대회에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센터에서 참석한 5283개의 팀중 선발된 32개 팀이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과 과학으로 만든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심사 기준은 단순한 문제 해결 능력이 아닌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 그리고 수학과 과학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였습니다.이미경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장은 “융합 R&E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점이 다를 뿐. 이 집에서 다섯 명이 숙식을 함께 하며 기계학습 소프트웨어 ‘앨리스’(프로젝트명) 개발에 매진 중이다.기계학습은 사람이 보고 듣고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하듯이, 기계에 ‘데이터’라는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학습’해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기술이다. 기계학습을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나하나 구분해 지도를 그려나갔다.미국 국립보건원(NIH)은 2005년에 ‘인간 커넥톰프로젝트(Human Connectome Project)’를 시작했습니다. 인간의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들기 위해 세계적인 뇌 과학 연구자들이 뭉쳤죠. 그리고 지난 7월 새로운 뇌 지도가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습니다(doi:10.1038/nature1893 .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라는 비영리 회사까지 만들어졌고, 아이디어는 실행에 옮겨지기 시작했지요.이 프로젝트는 올 봄 일본 대마도 지역에서 실험을 거친 뒤, 2020년부터 전 바다의 쓰레기를 청소하는 ‘쓰레기 청소 대작전’에 본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에요. 보이얀 슬랫은 “배를 타고 나가 사람이 직접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작했답니다.이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재클린 디스마스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이 프로젝트가 지구의 거대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전했어요.볼리비아에서는 전자쓰레기가 로봇으로 재탄생했어요. 볼리비아의 17살 고등학생 에스떼반은 자신이 사는 지역에 청년의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육성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에 따르면 내년까지 VR 게임, VR 테마파크 등 가상현실 선도 프로젝트에 총 6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여러분이 폐병원에서 좀비와 귀신들을 만날 날이 생각보다 가까워질지도 모른다. “아, 아까 떨어져 죽은 학생이 벽을 타고 올라오는데요?!”VR 공포 게임 역시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14개 프로젝트가 각각 다른 나라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된 1단계 사업과 달리, 다양한 프로젝트를 특정 지역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올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한-UNDP 2단계 협력 사업은 2020년까지 진행되며, 8월 중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발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사업에 총 400만 달러(약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의견을 모았다. 전문가 한 명이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게 더 효과적이고 빠르겠지만,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사람이 하드웨어 설계를 이해하고 토론할 수 있는 분위기를 배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기본적인 ‘사양’이 결정되고 나서 몽이 님이 처음으로 보드 위에 필요한 것을 하나씩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수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25년째 운영하고 있다. 이런 프로젝트는 북극 전체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한 나라가 혼자서는 절대로 할 수 없다. 각자 관심 영역에 대한 ‘지도’를 조금씩 그린 뒤에 합쳐야 거대한 극지 연구를 완성할 수 있다.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