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운데"(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틀듯, 바깥으로 나가려는 플라스 마를 잡아채 안쪽으로 당기면 된다. 도넛을 위에서 보면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두꺼운 고리가 보인다. 이 고리를 따라가는 방향을 ‘토로이달’ 방향이라고 한다. 플 라스마는 기본적으로 이 방향으로 돈다. 반면 도넛을 반으로 뚝 쪼개어 옆으로 보면, 작은 원이 ...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혈액을 붉게 만드는 것은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입니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둥그렇고 가운데가 움푹 파인 모양의 적혈구를 현미경 사진으로 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백혈구는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세포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질을 방어합니다. 백혈병이 바로 이 백혈구가 이상이 생겨서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혜성의 조성도 소행성과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소행성 가운데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난 걸 혜성이라고 보기도 하죠. 일본의 우주탐사선 하야부사는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을 채취했습니다. 운석이 소행성에서 왔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확인했죠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월 우주광산을 개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DSI는 지구에 인접한 소행성 9500여 개 가운데 18%인 1700여 개에서 희소 광물을 캐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구에서 1온스(약 30g) 당 1500달러인 백금으로 가득한 500m급 소행성이 있다면 그 가치는 2.9조 달러, 우리 돈으로 2900조 원에 이른다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손가락으로 연필을 잡는 모양과 연필을 만드는 방법 때문이야. 자, 연필을 한번 잡아봐. 가운데 손가락으로 연필을 받치고 엄지와 검지로 연필을 쥐게 되지? 이렇게 세 손가락은 삼각형을 이뤄. 만약 연필을 삼각형으로 만들면 연필의 몸통과 손가락이 가장 많이 닿아 가장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을 ... ...
- 앵두 VS 버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체리는 앵두나 버찌보다 과육이 크고 달콤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아요. 앵두와 버찌처럼 가운데 크고 단단한 씨앗이 들어 있으니 먹을 때에는 꼭 주의하세요! 버찌장미과에 속하는 ‘벚나무’의 열매예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벚나무는 봄이 되면 하얀 벚꽃을 잔뜩 피웠다가 눈 내리듯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게 된 현 상황이 어떻게 가능해졌는지 늘 놀랍기만 하다. 그런 가운데 치버스의 작품은 예술가의 수학적 시각 역시 시대에 적합하게 발전해 간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보여 준다.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미국의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증명한 정리로, 공리계에는 참이지만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다리를 가진 몸길이 3m의 반수생 해양파충류인데, 얼굴이 몹시 소름 돋게 생겼다. 위턱의 가운데가 벌어져 있고 이 틈을 따라 세로로 작은 이빨이 늘어서 있어, 마치 입이 세로로 나 있는 것 같이 괴상하다. 이 이빨들은 위턱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시작해 입의 가장자리를 따라 촘촘히 나 있다. 마치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히데오 교수(물리학상)가 올랐고, 2012년과 2013년에는 무려 3명씩이다. 잘 알려졌듯, 이 가운데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2년 뒤인 2012년에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거론되는 후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수하고 독창적인, ‘준비된’ 수상 후보자가 많다는 뜻이다. 이들은 심지어 노벨상을 ‘예상’하고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설치된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의 정슬기 박사도 유명 인사였다. C-HPP의 25개 연구 그룹 가운데 한국 연구 그룹은 3개다. 백 교수팀이 13번 염색체를 맡았으며, 유종신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팀이 11번, 조제열 서울대 교수팀이 9번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연합하며 프로테옴 연구에서 한국의 힘을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