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적혈구지름 7.2~8.4㎛, 두께 2~3㎛로 1㎣의 핏속에 450~500만 개의 적혈구가 들어 있다.
가운데
가 막힌 도넛 모양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적혈구가 적거나 헤모글로빈이 부족하면 뇌에 산소 전달이 잘 되지 않아 어지러움을 느끼는 빈혈이 생긴다.백혈구크기 10~20㎛로 1㎣의 ... ...
튼튼한 다리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그랜마에게는 캥거루처럼 커다란 꼬리가 없잖아요! 캥거루는 커다란 꼬리를 가진 동물
가운데
서도 유일하게 꼬리를 다리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 또 사람의 다리에는 기린처럼 탄성력이 강한 근육조직이 없어요. 닥터 그랜마는…, 그냥 운동을 열심히 하세요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걸릴 수 있다. 바로 병원성대장균 때문! 사람과 동물 대장 속에 살고 있는 대장균
가운데
몇몇 변종은 설사를 일으키고 심하면 대장염도 일으킨다. 예방하려면 깨끗한 환경에서 음식을 만들고, 조리 중 가열할 때는 속까지 완전히 익혀야 한다.02 김밥 _ ‘바실러스 세레우스균’김밥이나 볶음밥, ... ...
송이버섯 VS 양송이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특히 송이의 자생지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즐겨 먹지요. 먹으면 큰일 나는 독버섯버섯
가운데
에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몸이 아프거나 신경이 손상되는 독버섯이 많아요. 심하면 바로 죽기도 하지요. 보통 알록달록 화려한 색을 띠고 있지만 단색의 수수한 형태인 것도 있어요. 양송이버섯과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있지요. 우리 눈에는 투명한 접시의 단면이 하늘을 가로지르는 것처럼 보여요. 접시의
가운데
로 갈수록 반짝이 가루가 더 많이 겹쳐져 보일 거예요. 여름에 보이는 은하수도 이것처럼 별이 잔뜩 보이죠. 하지만 접시의 가장자리가 보이는 겨울에는 은하수가 여름보다 희미하게 보여요.공개! 은하수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3점식 안전벨트예요. 반면 경주차에 달린 안전벨트는 양쪽 어깨와 양쪽 허리를 모두 감싸
가운데
에서 고정하는 4점식 안전벨트지요. 6점식 안전벨트가 달린 경주차도 있답니다. 레이싱슈트는 속옷까지 특수 소재경기에 출전하는 레이서는 반드시 레이싱슈트를 입어야 해요. 레이싱슈트는 윗옷과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롤러코스터가 있다고 해보자. 롤러코스터가 마지막으로 멈추는 지점은 가장 낮은
가운데
지점일 것이다. 그곳이 위치에너지가 가장 작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원소 역시 마찬가지다. 원소에는 ‘질량결손 에너지’라는게 있다. 이 에너지가 크면 그 원소는 과잉 질량을 지닌다. 그러면 마치 높은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혜성의 조성도 소행성과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소행성
가운데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난 걸 혜성이라고 보기도 하죠. 일본의 우주탐사선 하야부사는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을 채취했습니다. 운석이 소행성에서 왔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확인했죠 ... ...
앵두 VS 버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체리는 앵두나 버찌보다 과육이 크고 달콤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아요. 앵두와 버찌처럼
가운데
크고 단단한 씨앗이 들어 있으니 먹을 때에는 꼭 주의하세요! 버찌장미과에 속하는 ‘벚나무’의 열매예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벚나무는 봄이 되면 하얀 벚꽃을 잔뜩 피웠다가 눈 내리듯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다행히 우리나라는 페트병,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이 높은 편이에요. 버려진 페트병
가운데
재활용이 되는 비율은 2009년 73%에서 2012년 80%로 껑충 올랐지요. 2020년까지 페트병 재활용율을 88%로 올릴 계획이래요. 페트병을 좀 더 제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색이 들어 있지 않은 투명으로 통일하고, 제품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