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무인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호는 약 3500km까지 스쳐 지나가며 울티마 툴레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울티마 툴레는 납작한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최초의 국산 중형차 스텔라의 화려함,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이 소를 싣고 방북하는
데
썼던 트럭, 경차 천국 일본과 경쟁할 마음으로 개발한 아토스, 고 정주영 회장의 장례차 등이 그의 손을 직접 거치거나 지휘 아래 만들어졌다. 그는 “전문가는 차에 딱 타보면 그 회사의 기술력을 안다”며 ... ...
암세포 영양분 공급 끊는 새 대사항암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세포 내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작용한다. 문제는 암세포가 생존하고 성장하는
데
글루타민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특정 유전자(SLC1A5)에서 만들어진 유전자 변이체가 미토콘드리아 아미노산 수송체로서 글루타민을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 ...
1000배 빨라진다…마이크로LED 공정 개선기술 세계 첫 상용화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걸린다. 제작기간 대부분을 LED를 옮기는
데
쓰는 셈이다. 비용도 많이 들어서, 옮기는
데
에만 7000만 원 수준이 든다. 마이크로LED 2500만 개의 가격이 1억 원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막대한 금액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마이크로LED를 빠르고 싸게 옮기는 기술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메타구조체’를 ... ...
머리카락 한 번에 10개씩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카트리지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모발 10개를 연달아 이식할 수 있다. 모낭 수천 개를 심는
데
수백 번만 사용하면 돼 수술 시간을 30~50% 이상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경북대병원 모발이식센터 임상시험을 거친 결과 사용상 결함이나 안전 문제가 없음도 확인했다. 이후 지난 5월 대한모발이식학회에서 ... ...
정밀 3D프린팅 기술로 높이 7μm 짜리 구조물 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이 기술을 활용해 전도성이 높고 빛 투과율은 거의 그대로인 3차원 투명 전극을 만드는
데
도 성공했다. 전극 모양으로 나노 구조체를 3D 인쇄한 뒤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은으로 코팅하고 투명한 실리콘 필름 안에 넣은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전극처럼 복잡한 나노 구조도 제작할 수 ... ...
슈퍼커패시터 충전용량 높인다…그래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과정에서 결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단위면적당 전하량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그래핀 전극은 기존 슈퍼커패시터에 활용된 탄소전극에 비해 전하 저장능력이 2~3배 늘어났다. 그만큼 저장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 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김명종 ... ...
소마젠-마크로젠 컨소시엄, 美 유바이옴 특허-
데
이터 일체 인수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마크로젠과 소마젠 컨소시엄이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유바이옴이 보유한 실질 자산 대부분을 잠정적으로 인수했다. 마크로젠 제공 이달 초 아시아인 ...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 빅
데
이터를 통해 다양한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세포가 에너지 만드는 ‘오토파지’ 조절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현상이다. 오토파지는 해로운 단백질을 제거해 인체 내 세포 생존과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현상이다.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 대사질환 등이 오토파지의 불균형으로 일어난다.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오토파지 현상을 최초로 발견한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 ... ...
김성용 KAIST 교수,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 관측의장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KAIST 제공. 김성용 KAIST 기계공학과·인공지능연구소 교수가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의 해양관측위원회(MONITOR) 의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19년 11월부터 3년간이며 추 ... 학계 민간위원으로 참가한다. 김 교수는 “한국이 해양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큰 힘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이전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