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도성 뛰어난 ‘맥신’ 상용화 앞당길 ‘유기 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색을 내는 입자가 들어 있는 것처럼 유기 용매에 맥신을 분산시킨 유기 잉크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구종민 KIST 센터장은 “맥신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기 분산 잉크 기술을 확보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며 “차세대 전자파 차폐는 물론 전자소자 응용 연구를 촉진하는 ... ...
치료 어려운 '호중구 천식'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분류하고 이미 상용화된 단일클론항체를 통해 치료법에 접근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유럽호흡기학회저널’ 11월 19일자에 게재됐다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구조 조사가 필요했다. 지난해 조사에 이어 올해는 고분의 축조방법과 구조를 파악하는
데
집중됐다. 조사단은 아라가야 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13호분 대형 돌덧널무덤(석곽묘)의 축조와 관련된 ‘특수통로시설’과 봉토를 효율적으로 쌓기 위한 ‘중심분할석벽’ 축조공법을 확인하는 성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캐나다 달러(약 8억 8400만 원)를 차임 망원경을 연구할 학생과 박사후연구원을 고용하는
데
모두 쏟아붓기도 했다. 올해 캐스피 교수는 240만 달러(약 28억 원)의 지원을 얻어 FRB용 족집게 망원경 ‘아웃트리거’를 새롭게 제작하고 있다. 아웃트리거 망원경은 FRB만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차임 ... ...
수분 더 먹고 전기 덜 쓰는 제습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제습 로터가 주로 쓰인다. 하지만 전량을 일본이나 스웨덴, 미국, 인도 등에서 수입하는
데
다 에너지 사용량이 많다. 화학연의 MOF 제습 로터가 상용화하면 수입 제습 로터를 대체하는 것은 물론 차세대 제습·공조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 ...
하헌필 KIST 책임연구원·김정민 제일약품 전무 과학기술훈장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통해 연간 1조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미세먼지에 대한 과학기술 해법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김정민 제일약품 전무이사가 개발한 간암 환자 동맥화학색전술 기술은 2019년도 국가 연구개발 최우수성과에 선정됐다. 식약처 의료기기 제조허가 및 품목 허가를 얻어 수입대체 ... ...
'아이언맨' 로다주가 만든 AI 다큐시리즈 유튜브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면서도 "사람마다 이미지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잘못 반영할 수도 있는
데
, 그런 단점에 대해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유튜브 관계자는 "지금까지 AI를 주제로한 공상과학 영화는 많았지만, 이 기술에 대해 진지한 설명과 토론을 나누는 다큐멘터리는 거의 없었다"면서 "이번 ... ...
美 뉴욕에서 가장 오래된 '숲'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커런트바이올로지' 19자에 실었다. 이 숲 화석을 토대로 나무 진화를 연구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뉴욕주에 있는 숲이 과거에는 펜실베니아까지 뻗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10여 전 전부터 뉴욕 허드슨밸리에 있는 캐츠킬산맥 산기슭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 ...
[
데
스크칼럼] 중앙과학관장 '귀환'과 중력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한국형 달탐사선 궤도 변경이 이슈가 되면서 중력도움(스윙바이)이란 종종 등장하는
데
이 말을 회전문 대신 쓰면 어떨까 싶다. 중력도움은 우주 탐사선이 먼 우주로 나아갈 때 추진력을 얻기 위해 추진체가 아닌 중력이 큰 천체 주위에 가까이 돌면서 생기는 힘으로 먼 우주로 튀어나가는 우주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무인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호는 약 3500km까지 스쳐 지나가며 울티마 툴레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울티마 툴레는 납작한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 ...
이전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