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때문에 굳이 MP3 연주기로 쓰지 않는다고 해도 윈도 운영체제의 기능 향상을 위해
필요
한 프로그램이다. 기본 연주엔진으로 프라운호퍼사에서 제작한 디코더를 사용하므로 음질에 있어선 윈플레이3과 동일하다. 그러나 업데이트가 중단된 윈플레이3에 비해 최신의 디코더를 사용하므로 표준 음색을 ... ...
벌레를 훈련시킨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포함됐다-자신의 실험을 옹호했다. 하지만 실험을 제대로 하려면 그처럼 '숙련된' 기술이
필요
하다는 멕코넬의 주장을 두고 사람들은 임시방편으로 늘어놓는 '변명'이라고 받아들였다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김교수는 “안정성을 확보한 제품이 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
하다”고 겸손해 하면서도 2003년 북미 전자동 광증폭기 수출시장 규모가 10억 달러라며 연구의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인다.미래는 빛의 시대다. 우주의 역사가 1백50억년 됐다고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 스크린세이버를 실행하려면 매크로미디어에서 제작한 ‘플래시’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하다. 플래시는 매크로미디어 홈페이지(www.macromedia.com)에서 다운로드 → 웹 플레이어 → 플래시를 선택한 후 오토 인스톨을 마우스로 누르면 자동으로 컴퓨터에 설치된다.(다운로드 : members.tripod.com/~pcsl911/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먼저 파충류의 뼈는 포유류의 뼈와 다르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
가 있다. 파충류에서 뼈 끝, 즉 골단(epiphysis)은 뼈가 연한 전형적인 연골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연골은 계속해서 자라기 때문에 파충류인 공룡은 살아있는 동안 계속 자란다.최근 오리주둥이공룡인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하지만 그 유전자가 능력을 발휘하는지 알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
하다. 예를 들어 보람이나 메디처럼 완전한 개체가 탄생한 다음에야 형질이 전환됐는지 알 수 있다.이에 비해 배간 세포를 사용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여러 배간 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가한 후 시험관에서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한다. 1초에 30장의 영상이
필요
한 경우는 30×8,294,400 = 248,832,000(약 2백38메가 비트)가
필요
하다.현재 TV 한 채널에 배당된 주파수 대역은 약 6 MHz로 이를 통해 초당 보낼 수 있는 정보량은 20메가 비트 정도다. 때문에 그 열배 이상이 넘은 2백메가 비트의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정보를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기초대사율은 인체가 생명을 유지해나가는데 꼭
필요
한 열량을 말하는데, 보통 하루 권장 열량의 60-70% 정도에 해당된다. 이 말은 나머지 열량은 체내 지방으로 축적된다는 얘기다.식사요법의 기본 원칙은 평소 식사량보다는 줄이되 기초대사율보다는 더 먹어야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것은 상당한 노력과 경비가 소요된다.만일 이런 제약 없이, 태어나서부터 평생 동안
필요
한 물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동물이 있다면 어떨까.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형질전환 쥐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1999년 6월 가톨릭의대 연구팀은 혈액의 성장을 돕는 인자(hGM-CSF)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쥐를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의견을 내놓고 있다. 기상청에서도 이런 점 때문에 “장마의 정의를 재검토할
필요
가 있다”고 털어놨다.그러나 전체적으로 한반도의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아직 일치되지 않고 있다. 연세대 이태영 교수는 “만일 장마전선 소멸 후에 나타나는 집중강우가 정말로 ... ...
이전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