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때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고, 재출발시 엔진이 자동으로 시동돼 엔진 공회전으로 인한 불
필요
한 연료낭비를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보통 시동을 걸 때에는 엔진을 돌리는 회전속도가 공회전 회전속도보다 현저히 느려 점화를 쉽게 하기 위해 진한 혼합기를 공급한다. 이 때문에 연료가 많이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대통령의 지시로 항공우주연구소가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을 수립할 때 우리별 3호의 개발
필요
성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2015년까지 19기(우리별 1,2호 제외)의 위성을 쏘아올리자면 인력개발이 매우 중요했다. 게다가 무궁화위성 1호(1995년 8월 5일 발사)와 2호(1996년 1월 14일)의 발사를 앞두고 있어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3분의 1 이상이 멸종이라는 위험한 상태에 직면해 있다. 대부분의 영장류는 대개 식량을
필요
로 하는, 그리고 삼림지대를 그대로 보존할 수 없는 개발도상국가들에 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보존문제는 국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유인원들은 아직도 먹기 위해, 또 스포츠라는 취미를 위해 사냥되고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터넷 시대에 E메일 하나 없으면 넷맹으로 통한다. 그런데 요즘에는 홈페이지를 갖추고 있어야 네티즌으로 대접받는다.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 나만의 집을 ... 가져도 좋다. 또한 PC통신이나 인터넷 동호회에 들어가면 조언을 해주는 네티즌이 많아
필요
할 때마다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
체감온도와 불쾌지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언어와 매우 다른 특별한 언어다. 이런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긴 시간이
필요
하다. 분명히 수학은 많은 사람들의 불만과 원성을 들을 만하고,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그렇지만 이런 기호 때문에 수학은 일상 언어로 표현하면 매우 길고 모호할 수 있는 내용을 매우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Random Access Memory)은 1비트의 정보를 기억하는데 1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가
필요
하다. 커패시터의 충전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기억한다. 커패시터의 자연 방전을 막기 위해 수 ms(1ms=${10}^{-3}$s)마다 기억한 내용을 한번 읽어내고 재차 써넣어야 하므로 제어회로가 복잡해진다. 그러나 구조가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그럴 수도 없다. 따라서 채식 위주의 음식문화를 갖는 열대지방 사람들처럼 잉여 생산의
필요
성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의 축적 또한 큰 의미가 없다. 물론 이동식 농경생활을 해야만 했던 열대지방이 그러했던 것처럼 한대지방 역시 대규모의 정착취락을 형성시킬 수 없었다. 그러한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분자로 바꾸는 촉매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그림1).염소기가 촉매 역할을 하려면 계면이
필요
하다. 성층권에서 계면 역할을 하는 것은 -80℃와 같은 낮은 기온에서 생기는 질산구름방울들의 표면이다. 여기에는 보통 구름들의 원료인 물이 거의 없다. 질산구름 방울들은 기온이 좀 올라가면 곧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만들어낸다. 여기서 지칭하는 ‘유전자’는 바로 단백질 한가지를 만들어내는데
필요
한 물질을 가리킨다. 즉 일반적으로 ‘6천여개의 유전자’란 ‘6천여개의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물질이란 의미다. 현재까지 존재가 확인된 인체 유전자의 수는 대략 10만여개로 추산되고 있다.그렇다면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소홀한 지역에 갑자기 닥친 지진은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항시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
하다.금세기 들어 쌍계사지진이나 홍성지진과 같이 건축구조물에 피해를 주고 약간의 부상자를 낸 지진이 발생하긴 했지만, 한반도에서는 20세기 내내 활발한 지진활동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 ...
이전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