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신소개"(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세계적으로 난민 혐오, 외국인 혐오, 장애인 혐오 등의 이슈가 불거지며 정치적인 우경화에 대한 염려와 관심들이 이어지고 있다. 서로 돕고 살아야 한다는 어린 시절 교육을 무색하게 만드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심리학적 이유에 대해 한 가지 힌트를 주는 연구가 있어 소개해본다. 노스이스턴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쉽게 좌절하고 화가 나고 자존감이 높았다 곤두박질쳤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경우 자존감이 낮기보다 되려 자기지각의 내용이 비현실적이라서, 또 사람들의 이목을 지나치게 신경쓰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다음 문답을 통해 자신을 한 번 되돌아 보도록하자. - 나는 사실 대단한 ...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2016.06.14
- “원래 이런 거니까”, “이게 옳으니까”, “이게 자연스러운 거니까” 등 자신의 행동에 대한 설명으로 뭔가 크고 근원적이고 도덕적인 이유를 대는 경우들을 본다. 그 행동이 정말 옳은 경우에는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예컨대 자신과 다를 뿐 틀리지 않은 무엇에 대한 혐오를 정당화할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서너살 정도 된 아이들 앞에 모락모락 맛있는 마쉬멜로우, 쿠키, 사탕 등을 놓는다. 그리고서 “먹고 싶겠지만 참으면 더 맛있는 걸 주지 (후후)”라면서 아이들을 기다리게 한다. 이 때 ‘미래의 더 큰 보상’을 위해 당장의 유혹을 뿌리치고 현재의 즐거움을 미룰 줄 안 아이들, 즉 더 오랜 시간 먹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포커스 인 인터뷰(Focus in Interview) Q: 연성물질이란 무엇인가요? A: 연성물질(soft materials)이란 말 그대로 부드러운 물질이죠. 물질을 이루는 결합에너지가 열에너지와 비슷해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합니다. 액정, 고분자 액체, 물, 콜로이드(직경1μm 미만의 미립자들이 액체‧기체에 분산된 상태), 생 ... ...
- ‘나는 페미니스트다’ 선언이 성차별 대응에 도움된다2016.05.24
- 옛날 옛적 “미천한 노예자식” 이라며 노예를 마구 치는 주인A와, “힘들지? 하지만 어쩌겠어 네가 노예로 태어난걸. 대신 네가 좋은 노예가 되면 내가 잘 해줄게” 라고 하는 주인 B가 있었다. 이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뭘까? ● 차별의 두 종류: 적대적 차별 VS. 우호적 차별 우선 공통점은 A와 B ...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2016.05.23
- 흥미로운 사실은 발생초기에 손상이 일어났음에도 비정상적인 행동은 청소년기가 되어서야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 패트리시오 오도넬, 화이자 신경과학 정신 및 행동 장애 분과장 지난주 강남역 부근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은 우리나라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다시 한 번 ... ...
- 실패를 허용하는 부모가 노력하는 아이를 키운다2016.05.17
- 당신은 노력에 따라 더 똑똑해 질 수 있다고 믿는가? 사람의 ‘지능’이 고정되어 있어서 아무리 노력해도 잘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노력 여하에 따라서 얼마든지 지능이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전자는 지능이 고정되어 있다는 믿음(fixed intelligence mind-set)이고 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어떤 물질이 독이 되느냐 약이 되느냐는 용량의 문제’라는 유명한 약리학의 명제가 있다. 독 가운데 가장 강력한 독이라는 보툴리움톡신(botulial neurotoxin)도 예외는 아니다. 보툴리움톡신은 1kg당 3나노그램꼴의 용량(몸무게 50kg인 경우 150나노그램)으로도 복용한 사람의 절반이 죽는다고 한다. 즉 ...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2016.05.10
- 양자이론을 접하고 당혹해하지 않는 사람은 양자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닐스 보어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유치환의 시 ‘깃발’에 나오는 ‘소리없는 아우성’은 시적 상상력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표현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