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신임 원장 재공모에 남석우·오인환·윤석진 압축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석사,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화학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KIST 연료
전지
연구센터장과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장,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
꿈의 소재 '그래핀'국내서 첫 대량생산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대량생산하는 그래핀을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의 방열부품과 이차
전지
의 도전재, 전극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박철용 엘브스지켐텍 대표는 “값싼 고품질 그래핀을 대량으로 시장에 공급해 10년간 열리지 않던 그래핀 상용화의 문을 2021년 열 것”이라고 말했다. ... ...
"올해 전기차 배터리 시장 1위는 LG화학…10년 뒤에는 중국업체"
연합뉴스
l
2020.05.14
내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SNE리서치는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차세대 이차
전지
세미나(NGBS) 2020'에서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전망을 내 놓았다. [권도윤 제작] 일러스트 올해 전 세계 배터리 공급량은 434GWh(기가와트시)로 예상돼 작년(340GWh)보다는 약 100GWh가량 늘지만 당초 예상(507GWh ... ...
"원자의 빈공간에 있는 에너지를 빼내 우주 탐사선 동력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있는 에너지를 뽑아 쓸 수만 있다면 탐사선의 추진 효율을 크게 끌어올리고 무거운 핵
전지
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속도를 더 높일 수 있다"며 "현재 실험실 수준에서 기술 증명을 끝냈고 1~2년 안에 프로토타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최 수석연구원은 이 기술을 포함해 ... ...
[프리미엄 리포트]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5.09
납으로 만든 퀀텀닷 태양
전지
의 최고효율이 16.6%인 반면, 3-5족 퀀텀닷으로 만든 태양
전지
는 10%를 넘지 못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3-5족 퀀텀닷이 이런 문제점을 뛰어넘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퀀텀닷의 표면을 ‘잘’ 조절하는 것이다. 퀀텀닷의 기본구조는 가운데 핵심물질(코어)을 두고 그 ... ...
최상혁 NASA 수석연구원,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선정 이유를 밝혔다. 현재 그는 화성 탐사선과 명왕성 탐사선에 들어가는 원자력
전지
에서 열을 전기로 바꾸는 ‘열전소자’ 성능을 100배 높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수석연구원은 인하대에서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고등학교 물리 교사와 한국원자력연구원 ... ...
해수
전지
로 식수·전기 부족한 제3세계 아이들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연구진은 교원창업기업 포투원을 통해 아쿠아시스 상용화뿐만 아니라 해수
전지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사업화할 계획이다. 김차중 교수는 “아쿠아시스는 기술의 사회적 기여에 초점을 맞춰 제3세계 아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깊은 고찰과 고민을 바탕으로 연구와 ... ...
비전임연구원 산업계 진출 지원 '키우리' 연구단 4곳 선정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에너지환경바이오 융합 고급인재양성 연구단’을 구성해 연료와 광촉매, 이차
전지
등을 연구하고 전문가를 키운다. 연세대는 ‘극한물성 소재-초고부가 부품 KIURI 연구단’을 구성해 차량 구조 및 제어, 기능성 소재, 에너지 소재 등 자동차용 소재와 부품을 연구하며 관련 전문가를 양성한다.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개념은 반도체 소자에 전압을 가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이론 도구다. 트랜지스터와 태양
전지
등 다양한 반도체 소자들의 구동 원리를 이해하고 성능을 결정하는 데 경험적으로 쓰여 왔다. 이 현상은 트랜지스터를 발명한 공로로 195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윌리엄 쇼클리가 1949년 처음 제시했다. ... ...
지난해 출연연이 잘 한 10대 연구에 블랙홀 관측과 치매 치료 후보제 발견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지상국과 김민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차세대 건물용 연료
전지
상용기술이 우수성과로 인정받았다. 우수성과로 선정된 단체와 연구자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이 수여된다. 우수성과는 사례집 발간을 통해 출연연 대표성과로 홍보된다. 원광연 NST 이사장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