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루다 개발사, 14세 미만 20만명 정보도 보호자 동의없이 수집(종합)
연합뉴스
l
2021.04.29
연애의 과학 서비스 가운데 성적 취향을 묻는 심리테스트 설문 응답 결과를 이용자별로
저장
해 놓은 것은 민감정보 수집에 해당한다고 봤다. 스캐터랩은 성생활 관련 정보 수집 동의를 받지 않았으며 이와 관련해 과징금 1천950만원이 부과됐다. 이밖에 회원 탈퇴자와 1년 이상 서비스 비사용자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과학적 사실
2021.04.28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처구니없는 괴담은 외면해야 후쿠시마 제1 원전의 탱크에
저장
된 방사능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모습. 일본대사관 제공 무책임한 황색 언론과 인터넷을 통해서 빠르게 확산되는 ‘괴담’은 마음이 약한 대중을 감성적으로 선동해서 사회를 불안하게 ... ...
2025년 서울-부산 왕복 가능한 액화수소열차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불과하다. 이는 일반 드론을 간신히 움직일 수 있는 수준이다. 철도연은 70kg급 액화수소
저장
및 추진시스템 6개를 연결해 한번 충전으로 20~30량 열차가 1000km를 달릴 수 있는 액화수소 열차를 개발할 계획이다. 해외의 기체수소열차보다 운행거리를 약 1.6배 늘리는 동시에 액화수소 충전시간도 20% ... ...
中,'탄소중립' 목표 이루려면 2050년까지 탄소 90%감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4.23
위해 중국은 2020년 이후 탄소 배출량을 급격히 줄여야 한다. 연구진은 이산화탄소포집및
저장
(CSS) 기술 등 탄소 저감 기술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2060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탄소 배출뿐 아니라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온실가스 배출량도 함께 줄여야 한다고 ... ...
대용량 그래프 데이터
저장
하지 않고도 알고리즘 계산한다
연합뉴스
l
2021.04.23
및 DB 금지] 기존에는 그래프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우선 합성 그래프를 생성해
저장
한 뒤 다시 그래프 처리 엔진에서 메모리로 옮겨 알고리즘을 계산하는 방법을 써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 클러스터 장비를 사용해야 했다. 연구팀은 합성 그래프 모델에 따라 실시간으로 그래프를 생성, ... ...
KAIST 물리학과 실험실서 수소가스 누출…학교측 "사고 아냐"(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매뉴얼에 따라 대피해야 한다. KAIST에 따르면 KAIST 내 가스를 이용하는 실험실이나
저장
고는 내부에 이용 종류에 맞는 가스 센서를 설치해 관리한다. 가스가 누출되면 KAIST 안전실로 되고 가스는 차단된다. KAIST는 수소가스가 유해 화학물질이 아니라 수소 누출은 내부적으로 '사고'로 분류하지 ... ...
韓 원자력 전문가 “후쿠시마 오염수 정화하는 ALPS 제대로 작동 안 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일본 정부가 해양 방출 계획을 실행하기 전 126만t(톤)의 방사능 오염수가
저장
된
저장
탱크에 대한 전수조사 필요성도 제기했다. 송진호 원자력연 책임연구원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정화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지난 10여 년 동안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시기도 있었다”며 “일부 오염수 ... ...
韓, 액체수소로 달리는 친환경 열차 개발…1회 충전으로 1000km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목표로 잡았다. 철도연은 액화수소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과 고단열 극저온 액화수소
저장
기술, 고속 충전기술을 개발해 2022년 하반기 중 트램에 장착한 뒤 시험할 계획이다. 전차선이 없는 구간에서도 운행할수 있도록 해 디젤 철도차량을 대체한다는 목표다. 기술적으로는 한 번 충전으로 최대 ... ...
[랩큐멘터리]유전자 스위치 찾아 뇌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오래 남는 경우가 있다. 뇌 속 신경세포가 특정 자극에 반응하면서 기억을 더욱 오래
저장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뇌의 특성이 신경세포의 DNA와 이를 발현하는 데 영향을 주는 각종 인자와 같은 분자적 수준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포스텍 생명과학과 김태경 교수가 이끄는 ... ...
"앱 설치하면 스마트폰에서 양자암호 보안"…KT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1.04.20
양자암호내성알고리즘(PQC)은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 간 네트워크 구간을 보호하며
저장
된 암호키를 'QS-VPN' 앱에 전달한다. KT는 앞으로 금융, 커넥티드카 등 보안이 중요한 5G 응용서비스에 이 기술을 확대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KT 인프라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이번 양자 하이브리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