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0점을 맞추는 것과 비슷하다. 그 다음 본 질문을 던졌을 때 나타나는 뇌 반응과 미리
저장
한 반응을 비교하면 그 사람이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미국의 신경과학자 스티븐 레이큰 박사는 이 방법의 정확도가 97%라고 발표했다.[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보면, 거짓말을 하는지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는 DNA 상의 일정 부위라고 볼 수 있다. 중심 원리(central dogma)에 따라 유전자, 즉 DNA에
저장
된 정보는 먼저 전사 과정을 통해 mRNA로 전달된다. mRNA로 전달된 정보는 번역 과정을 통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이렇게 유전자에 의해 단백질이 합성되는 현상을 발현이라고 한다. 합성된 단백질은 우리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피부 아래부터 얼음결정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동시에 간에
저장
돼 있던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면서 혈당수치가 평소의 100배 이상으로 급증합니다. 포도당은 혈관을 타고 주요 장기와 근육으로 이동해 세포 속으로 들어가죠. 세포가 얼지 않게 세포 속을 ‘진한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뒤쪽 주머니에 공기를 똑같이 나누면 물고기가 수평으로 헤엄칠 수 있다. 공기를 많이
저장
해 주머니를 부풀리면 물고기는 위로 뜨고 반대로 주머니를 작게 하면 수직으로 가라앉는다. 뒤쪽 주머니의 공기를 앞으로 밀어 앞쪽 주머니를 더 크게 만들면 물고기는 위로 나아간다. 반대로 앞쪽 주머니의 ... ...
[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는 선명한 주제와 참신함이 돋보였다. 컴퓨터의 일반적인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에서 파일을 불러오고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제각각인 이유를 과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했다. 이 기사가 초이스에 선정된 이유는 기사 내용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미지와 ... ...
하드디스크 용량 100배로 늘어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결과는 두 가지 상태로 바뀔 수 있는 반강자성체 나노구조물이 미래의 데이터
저장
수단이 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철원자 12개(네모로 묶인 부분)가 각각 0 또는 1을 나타내고 있는 모습.][IBM이 이 기술을 이용해 ‘THINK’라는 글자를 나타냈다. ...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 지면 관계상 편집축약본을 싣습니다.2011년 10월 말, 동남아시아 태국의 수도 방콕 주변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특히 태국에 집중된 ... 하드디스크의 바깥쪽에
저장
해야한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 파일은 안쪽 드라이브에
저장
하면 된다. 그럼 어느 정도 빨라진 컴퓨터를 느낄 수 있다 ... ...
인터넷 무게는 소금 알갱이 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같죠.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러셀자이츠의 결과는 달랐어요. 그는 이메일 하나를
저장
하는데 약 80억 개의 전자가 쓰이고, 인터넷 데이터가 500만 테라바이트(1TB=${2}^{40}$B)라고 가정해 계산했어요. 그 결과 딸기 하나의 무게인 50g 정도가 ... ...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때 1km=1000m=(1000)2mm에서 1km3=(1000)6mm3=1018mm3이므로, 쌀의 총 부피는 약 80km3이다.쌀알을
저장
하려는 정육면체 창고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km라 하면 x3=80이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x는 약 4.3km가 된다. 결국 승려가 요구한 쌀의 양은 세 모서리의 길이가 모두 4.3km인 거대한 정육면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근육 이름이 잔뜩 쓰여 있다. “이 해부도를 기계 관점에서 보면 재밌어요. 에너지를
저장
하고 방출하는데 벼룩 뒷다리만큼 효율적인 게 없습니다. 1967년에 나온 논문인데 아직 아무도 이 속에 숨겨진 원리를 로봇으로 구현하지는 못했죠.”벼룩 뒷다리에는 세 종류의 근육이 있다. 펴는 근육과 접는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