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d라이브러리
"
단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셜엑스레이 안경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인터넷에 ‘상대의 마음을 아는 법’을 검색했다.“소셜엑스레이 안경?”처음 들어보는
단어
다. 안경에 붙어 있는 좁쌀만 한 카메라로 상대의 표정을 인식해 기분이 어떤지 알 수 있는 장치란다. 도대체 어떻게 표정을 읽어 상대의 마음을 알 수 있다는 걸까, 안경을 개발한 미국 MIT 미디어랩의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로봇이 그 동작을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손에 쥘 수 있을 정도의 리모콘이나 단순한
단어
로 이뤄진 음성 명령은 정교하게 조종하기에 부족하다. 영화에서도 펀치의 각도나 힘, 회전 따위를 정교하게 조작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권투에 필요한 기본적인 동작이 로봇에 저장돼 있다는 추측이 가장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알프레드 노벨이 노벨상을 제정한 것을 흉내낸 것이다.‘품위 없는’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이그노블(ignoble)’과도 뜻이 통한다.하지만 진짜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이 수상자의 심사와 선정에 참여하고 시상식에서 상을 수여하는 만큼, 세계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한 상이다. 시상식은 과학 뮤지컬과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 결과 10가지를 선정해 수상된다. 이그는 ‘명예롭지 못한 진짜(Improbable Genuine)’라는
단어
의 약자다. 이그노벨상은 하버드대의 웃기는 과학 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과학자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지난 9월 29일(현지 시간)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는 올해의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맞는 먹이 식물을 애벌레에게 주지 못해 애벌레를 죽게 할 수도 있다. 또 ‘때리기’란
단어
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여러 번 때려서는 효과가 낮다. 한 번에 강하게 나무를 때리면 약하게 계속 치는 것보다 애벌레가 더 많이 떨어진다. 나무를 계속 흔들고 때리다보면 애벌레는 떨어지지 않기 위해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느끼는 것은 너 자신이야. 계획을 세워. 국어는 반드시 예습하겠다든지 영어는 주말에
단어
를 몇 개 외우겠다든지 이런 계획을 세우자. 본인이 더 잘 알거야. 남이 시키는 것은 의미가 없잖아. 너의 단점을 잘 생각해서 과목별 문제점을 쓰는 거야. 쓴 다음에 반드시 벽에 붙여봐. 마음이 헤이해지면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화장이라는 도구와 기술을 사용해 왔다. 화장품을 뜻하는 ‘cosmetics’라는 영어
단어
또한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나타내는 희랍어 ‘kosmos’에서 유래한다. 얼굴과 몸 전체를 조화롭고 아름답게 가꾸는 화장이라는 행위는 우주의 순리와 질서를 따르는 작업인 셈이다.염색약에 페디큐어까지 ... ...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둘 중에 뭐라도 좋으니 당첨되기만 하면 좋겠습니다만.연금복권은 이름에‘연금’이란
단어
가 들어가 있지만, 실제로 지급하는 당첨금에는 연금의 핵심 원리인 복리 개념이 들어 있지 않습니다. 그냥 12억 원의 당첨금을 240회로 나눠 500만원씩 주는 것이죠. 복리란 쉽게 말해‘이자에 이자를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종종 부른다. 하지만 ‘천문학적’ 이라는 표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실제로 이
단어
는 별과 별 사이의 거리, 행성의 크기, 빛의 속도처럼 천문학에서 다루는 많은 수가 직접 표기하기 힘들 정도로 매우 큰 데서 나온 말이다.예를 들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만 해도 1억 5000만km=150000000km이다. 또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여덟’이 ‘여덜’로 인식된다. 그래서 ‘시’와 ‘찾아뵙겠습니다’라는
단어
로 맥락을 파악해 시간, 즉 숫자임을 알아내 ‘여덟’로 인식하는 것이다. 우리말과 일본어 통역은 95% 정도의 정확도가 나온다.방송 자막 자동번역도 앞으로 유망한 분야다. 외국에서 우리나라 방송을 볼 때 자동으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