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2) 벙어리 컴퓨터가 달변가로 변신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새로운 종합정보통신의 장에 조기
진
입함으로서 선
진
국 대열에 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멀티미디어 컴퓨터가 우리 앞에 선은 보였지만 일반 대중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그 첫번째는 멀티미디어 컴퓨터를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전세계적으로 4천~5천팀에 이르는데, 로러박사는 '84년 멕시코의 칸쿤에서 STM에 관심을 가
진
학자들이 처음 모였을 때 그 수가 10명에 불과했다"고 밝히면서 격세지감을 나타냈다.아무튼 원자를 처음 발견한 영국의 존 달턴(Dalton)이 무덤에서 깜짝 놀라 깨어날 일이 STM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미래의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증가로 그 양이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표1). 게다가 이용효율은 여타의 선
진
국들에 비해 훨씬 뒤떨어지는 실정이다(표2). 이렇게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아무런 보완조치없이 기후변화방지협약에 떠밀려서 가입할 경우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지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스트라이크' 판정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판정시비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거나
진
게임을 심판탓으로 돌리기 어렵게 되지만 김응용 감독이 심판에게 점잖게 항의하는 코믹한 장면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우리는 여러가지 벽을 뛰어넘었다"고 말한다, '후
진
적'인 줄 알았던 우리 연구내용에 선
진
국에서 조차 관심을 가져주었고, "스포츠과학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선수들 사이에 확산되면서 '내가 왜 그 기계의 실험대상이 되느냐"는 경계심이 현저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 ...
(3) 안방에서 「비디오 도서관」 영화 빌려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가정에서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광역디지털 통신망 구축이 시기적으로 부합되어
진
정한 멀티미디어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가정에 보급되면, 사람과 사람간의 통신 형태가 크게 변할 것으로 보인다. 먼 거리에 있는 사람을 마치 옆에서 대면하는 것처럼 현장감 있게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화장품이 과연 미용말고 피부에 어떤 이로운 역할을 할 수 있을까?박가분(朴家粉), 비록 1930년대에 '납독파문'을 일으켜 된서리를 맞긴 했으나 1915년에 만들어
진
우리나 ... 두번씩 일주일 정도 화장품을 계속 발라본 뒤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부작용의 자체
진
단법을 일러준다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3초 후 속도와 물체의 5초 후 위치를 구하라.② 지구 표면에서 연직으로 ${v}_{0}$ 로 던져
진
물체가 최고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과 그 때의 높이를 구하라.익힘문제 해답(1) 물체의 3초 후 속도는 식 (4)에 의하여 v=2+(-4)×3=-10cm/초가 된다. 즉 물체의 속도는 반대 방향에서 작용하는 가속도 때문에 3초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요소를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일 것으로 믿고 있다.인간은 신
진
대사결과 만들어
진
요소의 25%를 창자에 있는 박테리아로 분해하여 새로운 단백질로 다시 사용하지만 나머지는 오줌으로 배출해야 한다. 그러나 동면중인 곰은 모든 요소를 다시 활용하고 나중에는 일부만 활용한다. 넬슨박사에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 불 때는 앞으로 날아갈 수가 없으며, 회오리 바람(광풍)이 불 때는 날지 못하고 떨어
진
다."또 호서지방의 노성에 사는 윤달규선생도 비차를 만들어 날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가 바로 그 연대로 보아 새를 모방한 날개치기 비행기를 꿈꾸던 시대인데, 우리나라 항공의 역사자료로 아주 ... ...
이전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