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이 이론을 입증했다. 정확히 빅뱅이 어떻게 시작했으며, 어떻게 그 이후 우주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우주의 미래에 대해 어떤 운명을 가르쳐 주는가 하는 질문은 우주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현대인의 관심사일 것이다. 시공의 구조를 이해해야 먼저 유의해야 할 점은 우주의 ... ...
-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없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동결, CFC 사용의 전문 중지 등 소비생활의 패턴을 바꾸는 급진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과학의 수준을 앞지른 과학자들을 위축시켜온 것이 사실이다.성명서 제작의 주관단체인 세계과학협회는 후속작읍으로 오는 9월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국제회의를 가질 ...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높인다. 이 심층수는 1,2천년간의 오랜 기간을 거쳐서 바다를 순환한다. 즉 심해로 옮겨진 이산화탄소는 매우 오랜 기간을 머물 수 있는 것이다.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저장고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1,2천년이 지나면 심해수가 표층수로 변해 다시 이산화탄소를 대기에 토해놓을수 ...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때문에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성에 잡힌 우주쓰레기는 처분궤도에 모아진다.11월/태양계 제1의 화산화성 올림푸스 산의 높이는 약 27km. 태양계에서는 가장 큰 순상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지름이 64km나 되는 칼데라를 갖고 있는 이 화산을 인류가 방문할 날도 멀지않았다. 12월/저넘어발견을 ... ...
- 한반도의 철기시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문고리 등 원하는 형태의 철 제품이 만들어진다.운문산 솥계골에서는 주로 주물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물이란 도가니 안에서 쇳물을 거푸집에 부어넣는 일. 권교수가 찾아낸 우리말로는 무질부리라고 부른다. 무질부리 가마에다 봉쇳덩이나 판장쇠를 숯과 함께 넣고 가열해(여기서의 ...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고래자리, 남쪽 물고기자리, 에리다누스자리)의 출현을 예고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동양의 여러별 목록에서 이 별은 사원이나 '신성한 성지'로 불려졌다. 눈키는 2. 2등급의 밝기이며 거리는 대략 3백광년정도다.이달의 주요 관측 대상-사수자리의 성운·성단1. 삼열성운(Trifid Nebula, M2O, NGC6514, ...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것들이 매우 많다.인류가 처음으로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문명발달이 이루어진 것과 같이 숯이 여러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철을 생산하고, 알루미늄을 만들고, 원자력을 사용하게 했으며, 우주로의 여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탄소재료는 지금까지의 인류발달과 풍요로운 문명세계를 ...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사람 또는 막대기 하나로 물을 찾는 사랄들은 평균적인 자기감지능력이상의 기능을 가진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던져 볼 수 있다.그러나 여러차례 조심스럽게 실험을 했지만 자철광이 그런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 작은 자석들을 통해 인간이 어떤 감각능력을 가질 ... ...
- 머리좋은 생물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생각을 뒤엎고 말았다.우리의 두뇌와 다르다고 해서 깔보아서는 안된다. 두뇌를 가진 컴퓨터가 등장하면 그 회로는 인간의 두뇌처럼 보이지는 않더라도 우리와 같은 수준으로 활약할는지 모른다. 아니, 더 높은 수준일 수도 있지 않을까?HOMO SAPIENS SAPIENS is a name redolent with hubris, for we humans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스트라이크' 판정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판정시비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거나 진 게임을 심판탓으로 돌리기 어렵게 되지만 김응용 감독이 심판에게 점잖게 항의하는 코믹한 장면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 ...
이전1000100110021003100410051006100710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