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말처럼 우리의 영혼을 지구와 현재의 지식에 묶어둘 필요는 없지 않은가! 새로운 과학적
개
념은 때로 SF보다 더욱 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풍부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건지평선: 물질은 물론 빛조차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는 시공간의 경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STAR TREK 2266년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속도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에 고속철도는 이미 필수불가결한 존재다. 2004년 4월
개
통한 KTX는 2년 만에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 6000여만 명을 수송하며 국민생활을 획기적으로 바꿨다.이제 ‘금요일에 귀가해 월요일에 출근한다’는 일본 신칸센의 금귀월래(金歸月來) 현상이 우리나라에서도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2차원 표면(책상면)을 기어가는 2차원적인 존재다. 하지만 실제 공간은 3차원이다. 물론
개
미 입장에서는 바깥에 새로운 공간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실제 우리가 사는 3차원 공간이 그보다 더 큰 9차원 공간 속의 얇은 막일지 모른다는 점이 지난 10여 년간 물리학자들이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신경세포접착단백질이다.하나의 신경세포는 1000
개
에서 많게는 10만
개
의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된 시냅스를 갖고 있다. 비록 0.5~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좁은 크기지만 신경세포접착단백질이 잘못되면 A라는 목적지로 가야할 신호가 B라는 곳에 도착할 수 있다. ... ...
나무판과 현이 빚어낸 천상의 소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전달하는데 문제가 없다. 때문에 대부분의 악기가 시간이 지나면서 그 성능이 끊임없이
개
선되고 있는 반면 바이올린은 300년이 지난 지금도 오히려 연구의 대상이다.한 예로 17세기에 제작된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목재의 밀도가 높아 풍부하고 다양한 음색을 갖게 됐다는 사실이 2003년에야 밝혀졌다.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아끼고 사랑합시다”라는 멘트는 온몸을 휘감는다. 전기, 인류문명에 빛을 비추다216
개
의 화면과 조명 장치로 전기에너지와 함께한 인류문명의 발달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 터널. 비디오 아트 형식을 빌렸다. 불의 발견부터 단 하루도 전기 없이 살아갈 수 없는 현대 생활까지 빛과 전기의 ... ...
별이 쏟아지는 하늘을 내 방에 “홈스타”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있어 분위기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사람이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수 천
개
에 불과하다고 한다. 우리도 이제 반 고흐의‘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과 같이 별이 가득한 하늘을 보면서 멋진 꿈을 꿔보자 ... ...
환각제보다 술, 담배가 더 나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환각제로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금지된 약물이다.영국 하원과학기술위원회는 약물 20
개
를 비교 분석해 해로운 순서로 순위를 매겼다. 그 결과 마약성 물질인 헤로인과 코카인이 1, 2위를 차지했고 알코올과 담배가 각각 5위와 9위에 올랐다. 하지만 엑스터시는 거의 20위에 가까울 만큼 부작용이 ... ...
개
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수 있다.수세기 전에 살았던 한 마리의
개
과 동물은 암세포의 형태로 현재까지 전해져
개
들에게는 아픔과 괴로움을, 우리에게는 경이로운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 ...
공 위에서 중심 잡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홀리스 교수팀이 어지러운 방에서도 한결 자유롭게 이동하는 로봇인 ‘볼봇’(Ballbot)을
개
발했다고 보도했다.이 로봇은 금속으로 된 축구공 크기 공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홀리스 교수는 “볼봇은 굴곡이 있거나 장애물이 복잡한 공간에서도 민첩하게 활동할 수 있어 인간형 ... ...
이전
998
999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