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성
혹성
d라이브러리
[그래픽뉴스] 미켈란젤로의 ‘비밀의 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1975년, 이탈리아 피렌체의 산 로렌초 대성당에서 숨겨진 방 하나가 발견됐다. 벽에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인 미켈란젤로의 것으로 보이는 스케치가 그려져 있었다. 이 비밀의 방이 대중에게 처음 공개된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또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유네스코)는 2013년을 지구를 위한 수학(MPE Mathematics of
Planet
Earth)의 해로 정했죠. MPE는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전염병, 에너지 및 식량 문제 등 지구를 위한 각종 문제를 수학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말합니다. 유네스코는 특히 기후변화를 위한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지구는 1년에 3.8cm씩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덩달아 초기 지구의 행성 거주가능성 지수(
Planet
ary Habitability Index·PHI)는 1.0이었는데 현재 지구의 PHI는 0.96으로 떨어졌죠.슐츠-마쿠흐 교수팀은 지금껏 알려진 4000여 개의 외계행성 중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24개를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된 결과가 논문으로 발표됐다. ‘백야드월드: 플래닛9 (Backyard Worlds:
Planet
9)’이라는 프로젝트의 연구 논문이다. 40여 명의 저자가 참여한 연구에는 16명의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포함됐다. 백야드월드의 목표는 새로운 갈색왜성을 찾는 것이다. 갈색왜성은 행성보다는 크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 이야기 Pluto's
Planet
Disqualification
기사
l
20250326
발견됩니다. 명왕성을 행성으로 인정하면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들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결국 국제천문연맹은 이를 왜소행성(Dwarf
Planet
)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렁다고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없어진 건 아닙니다. 단지 '왜소행성'이 되었을 뿐이죠. 자, 오늘 기사는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갑사합니다. ...
[저 한동안 접습니다]Möge der Popcorn-
Planet
ewig halten 願って El robo sin el cerebroأعتذر....
포스팅
l
20250315
Möge der Popcorn-
Planet
ewig halten 願って El robo sin el cerebroأعتذر.... Laten we vandaag vertrekken Может быть, когда-нибудь я вернусь.안녕히 계세요Tôi sẽ không ở đây trong một thời gianMi dispiace d ...
[기사콘 챌린지] 외계인에게 메세지 보내기
기사
l
20250122
I'm not sure if you guys will get this message but if you can understand me, could you do me a favor? I would really appreciate it if you could send me a message about your
planet
's natural en ...
외계행성 TOI-700
기사
l
20250121
지구와 비슷한 외계 행성을 골디락스 행성(Goldilocks
Planet
)이라고도 합니다. 골디락스 행성은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행성을 뜻합니다.지구와 비슷한 외계 행성으로는 TOI-700 d, TRAPPIST-1 행성계의 행성들, 울프 1069b 등이 있습니다. TOI-7 ...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링크로 들어가시면 나사에서 TOI ...
각자만의 색체를 가지는 것을 키워주는 Humans In Space! HIS YOUTH에 다녀오다
기사
l
20240829
하나하나 자신만의 색채로 빛난다” 저도 이 밤하늘 우주의 저만의 색채를 가지고 반짝이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게 되었고, “A
planet
is the cradle of humanity, but one shoould not live in a cradle forever(지구는 인류 문명의 요람이다. 그러나 누구도 요람에서 평생을 살 수 없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