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한국 '인공태양' 초전도자석, 16년 장기 운전에도 최대 성능동아사이언스 l2024.06.24
- 성능저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매년 약 15킬로암페어(kA) 전류에서 교류 손실(AC loss)을 측정하고 있다. 올해는 초전도자석의 성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펄스 방식(일정 시간 멈췄다 다시 가동하는 운전 방법)으로 운전하는 중심 솔레노이드 자석에 15kA부터 정격 전류인 25kA까지 단계적으로 ... ...
- 금성에 물이 없는 이유는…"대기중 수소원자 우주로 대량 유출"연합뉴스 l2024.05.07
- 가능성 등을 탐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ichael Chaffin et al., 'Venus water loss is dominated by HCO+ dissociative recombination', http://dx.doi.org/10.1038/s41586-024-07261-y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2022.11.06
- 책임 규명을 위해 애쓰는 일일 것이다. ※관련기사 Gillies, J.,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9, 31-65.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 ...
- "코로나19 완치 후 청력 저하 나타날 수도"연합뉴스 l2020.08.04
- 연구팀은 설명했다. 홍역, 볼거리,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이 난청(hearing loss)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중이(middle ear)나 달팽이관(cochlea) 등 청각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그중 하나가 청신경을 따라 뇌에 소리를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2022.11.06
- 책임 규명을 위해 애쓰는 일일 것이다. ※관련기사 Gillies, J.,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9, 31-65.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 ...
- "코로나19 완치 후 청력 저하 나타날 수도"연합뉴스 l2020.08.04
- 연구팀은 설명했다. 홍역, 볼거리,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이 난청(hearing loss)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중이(middle ear)나 달팽이관(cochlea) 등 청각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그중 하나가 청신경을 따라 뇌에 소리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동물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2018.12.08
- 남은 사람에게 주어진 역할일 것이다. ※참고 및 출처 Sharkin, B. S., & Knox, D. (2003). Pet loss: Issues and implications for the psychologist.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4, 414-421. Field, N. P., Orsini, L., Gavish, R., & Packman, W. (2009). Role of attachment in response to pet loss. Death Studies, 33, 334-355. ※필자소개 박진영.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사건들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59, 20-28.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 ...
스페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