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헛점
d라이브러리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무게의 증가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라부아지에가 옳았다기엔 산소 이론에는
허점
이 많았고, 프리스틀리가 틀렸다기엔 플로지스톤 이론이 여전히 잘 설명하는 측면들이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라부아지에는 자신의 지지자들과 함께 플로지스톤 이론을 박멸시키는 캠페인을 전개했고, 그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있다. 하지만 과학에 100%는 없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한 단체가 있다. 지금까지의 재판의
허점
을 인정하고 무고한 사람을 법과학 증거로 석방하는 미국의 ‘결백 프로젝트(Innocence project)’다. 유죄를 입증하듯무죄를 입증하다 ‘3826년’. 결백 프로젝트가 무죄를 입증한 사람들의 옥살이 기간이다. 한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식의 가설을 다양하게 세우며 오랫동안 연구가 이뤄졌습니다. 기존 패러다임의
허점
을 넘어서 그러나 시간이 흘러 윔프 패러다임도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실제 은하 중심부에 존재하는 암흑물질의 양이 윔프 패러다임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수십 배나 적은 ‘핵-돌기 문제’가 ... ...
[특집] 수상자들의 양자역학 실험 설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2호
그 결과 양자역학의 설명이 옳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사람들은 이 실험 과정에 여러 가지
허점
을 지적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알랭 아스페, 안톤 차일링거 등 과학자들이 실험을 보완했고, 세 명의 과학자는 양자역학이 옳다는 주장에 쐐기를 박았습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쓸모 없어 보이는 발명품 Top5
기사
l
20250503
것입니다. 물은 원래 0kcal인데 왜 굳이 만든가 싶습니다. 소비자들이 다이어트라는 말에 솔깃하는지 보여주는 사례이고, 마케팅의
허점
이 잘드러난 물건인것 같습니다. 물론 레몬 같은것을 섞은 것이 있지만 그렇다면 칼로리만 더 올리는 것 같습니다. 4. 우산 컵 홀더 출처: https://product.29cm.co.kr/catalog/ ...
[디베이트 제3탄] 남북통일을 둘러싼 논란
기사
l
20240807
반면 반대 측도 만만치 않아요. 반대 측은 남북통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우려되며, 또한 남북통일 찬성 측의 주장에
허점
이 많다고 주장해요. 먼저 사회적 문제가 있어요. 북한 사람들과 우리나라 사람들 가운데 이질감으로 인해 문화적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북한의 마약중독자 문제로 인해 통일될 시 사회의 질서 ...
굿컴을 꼭 지켜야 하는가
기사
l
20231011
일입니다. 2. 분탕러들은 꼭 존재한다. 굿컴을 한창 지키자고 할 때, 처음 1년 동안은 좋았습니다. 그러나 굿컴의
허점
과 사이트의
허점
을 이용하여 분탕을 치는 유저들이 있었죠. 대표적으로 조세구가 있겠습니다. 그 이후로 분탕을 치는 유저들은 끝없이 존재했습니다. 최근에는 팝플로 바뀌고 스텝들도 만드니 틈이 없을 것처럼 보일 것 ...
니비박사 석주명 박사님 (챌린지)
기사
l
20230731
생류부류와 제주어의 연구를 주도한 한국박물학계의 선구자로 평가 받습니다. 후술하겠지만 일본 박사들이 잘못 연구한 나비의
허점
을 바로 잡았고 어마어마한 업적을 이루신 분이에요. 그리고 우리가 부르는 나비의 이름은 전부 석주명 박사님이 지어주신 이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유리창 나비와 지리산 팔랑나비를 아시나요? 유리창나비는 날개가 투명하고 빛 ...
양자역학의 시작
기사
l
20230408
볼 때 빛이 들어가 질량을 정확히 알 수 없다. -
허점
2:눈금자는 빛의 의해 아주 미세하게 흔들려서 질량을 정확하게 잴 수 없다. -
허점
3: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있으면 시간은 느리게 가니 시계의 시간은 느리게 간다. 이렇게 양자 역학이 시작되었습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