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본다”고 말했습니다. 생체정보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홍채, 지문, 얼굴, 발바닥, 항문, 심지어는 걸음걸이도 생체정보가 될 수 있죠. 각 종의 특성과 활용 목적에 따라 ‘최적의’ 생체정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람의 경우 얼굴과 지문이 생체정보로 흔히 쓰이는 것처럼 말이죠. 최적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강상희 교수는 “골반부터 무릎 위까지의 근육에 힘을 주니 복부에 힘이 들어가면서 항문이 살짝 풀려 변을 좀 더 수월하게 볼 수 있다”고 말했어요. 그밖에도 쾌변에 도움이 되는 다른 비법들을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2023년 11월, 현대 물리학 이론으론 설명할 수 없는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통해 이 피가 누구의 것인지 알아낼 수 있고, 혈흔 속 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해 이 피가 항문 근처에서 나온 것인지 알아낼 수 있으니까요. 이게 (이 일을 하는) 재미입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엔 ‘못합니다’ 했던 일도 이젠 ‘네, 됩니다’라고 답할 수 있게 됐으니까요.” 어느 날 새벽, ... ...
- [2023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 - 스마트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표현해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여러 사람이 변기를 사용해도 문제없습니다. 센서가 항문 주름 약 35~37개의 패턴을 인식해 사용자를 구분할 수도 있거든요. 전 스마트 변기로 사람들이 건강할 때부터 데이터를 꾸준히 관찰해, 아프지 않도록 하는 게 목표예요. AI 학습 데이터를 어떻게 얻었나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