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서늘한 가을이 다가왔다. 가을하면 흔히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지만, 독사(毒蛇)의 계절이라고도 한다. 살모사가 독이 오르거나 약이 차서란다. 그런데 이 말이 사실일까. 독사의 대명사 살모사는 왜 독을 지니고 있는 걸까. 독을 가진 파충류에 대해 속 시원하게 파헤쳐보자.겨울잠을 준비하는 살모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정의 또한 바뀌었다. 현재 파충류는 분비기관이 없는 피부, 그리고 뒤통수에 발달한
한쌍
의 큰 구멍을 지닌 동물로 정의한다.분비기관(땀샘)이 없기 때문에 파충류는 땀을 흘리지 못한다. 체내의 노폐물을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 몸속의 수분이 ... ...
[과학뉴스] ‘비만 유전자’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비만의 원흉으로 꼽히는 FTO라는 유전자가 있다. 상동염색체 한 쌍 중 한쪽에 FTO가 있으면 체중이 1.6kg이 늘고 양쪽 모두 있다면 3.2kg이 는다는 통계 연구가 있기 때문에, 그 동안 이 유전자는 비만 확률을 높이는 ‘비만 유전자’로 꼽혀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만의 원인은 이 유전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황새(Oriental White Stork, Ciconia nigra)는 러시아, 중국, 우리나라, 일본 등 아시아에 산다. 전체 20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되는 겨울철새로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1년 4월 4일 충북 음성에서 번식하던 마지막 한 쌍 중 수컷이 밀렵에 희생돼 멸종됐다.‘황새 쌀’ 들어봤나요우리나라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청계천 어류 탐사 후기
기사
l
20250519
정비라는 이름으로 생태 보전보다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훼손된 하천을 종종 봤습니다. 올해 초 멸종위기종인 흰목물떼새 암수
한쌍
을 관찰하던 장소가 있는데, 경관을 위해 하천을 넓히는 공사를 하며 자갈과 돌들이 없어졌고, 서식지를 잃은 흰목물떼새가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저는 그 하천에서 더 이상 생명력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
쿠시로 두루미탐사 생생취재록
기사
l
20241126
8시 30분에 호텔 로비에 집합한 뒤 구시로 쓰시겐 국립공원에 3대의 차에 나눠타고 들어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두루미(일본어:단초)
한쌍
이 보였다. 시오 선생님과 함께 국립공원 내부를 이동하면서 탐사를 하다보니 밭에 꽤 많은 두루미들이 있었다. 기대보다 많은 두루미를 볼 수 있어서 놀라웠다. 그리고 두루미들의 잠자리인 강 위의 작은 섬 ...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 후기
기사
l
20241125
풍경이라 감명깊었습니다. 아침부터 내리던 눈발이 굵어지는 가운데 눈을 맞고 있는 흰꼬리수리
한쌍
을 발견했습니다. 암수구분은 보통 덩치차이로 하는 데 덩치가 큰 왼쪽이 암컷, 오른쪽이 수컷이란 걸 알 수 있었습니다. 2. 시라루토로 호수 물새를 보기 위해 호수로 이동했습니다. 멀리서도 새하얀 큰고니 ...
저빌탐사대 - 241110 - 2
탐사기록
l
20241110
암수
한쌍
...
초록지구 - 240925 - 1
탐사기록
l
20240925
목욕하는 오색딱따구리
한쌍
(오른쪽이 암컷)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