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레
민족
종족
동족
한겨레신문
단일민족
스페셜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가동중이다. 중국은 내륙지방까지 포함하여 약 100기의 신규 원전을 계획중이다. ⓒ
한겨레
신문 물론 우리로서는 사고시 큰 재앙이 예상되니 달갑지 않지만, 동부 해안 쪽에 주요 경제 거점이 밀집한 중국으로서도 갑작스런 원전 사고는 감수하기 어려운 일이다. 중국 정부도 이를 모르는 바는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깨며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 신문 서체에 파격적으로 탈네모꼴을 적용하려 시도한
한겨레
결체가 대표적인 예다. 안상수체와 같은 대표적인 탈네모꼴과 비교하면 크게 두드러지지 않지만, ‘활’ ‘빼’와 같이 상하나 좌우가 긴 글자에 선택적으로 탈네모꼴을 적용한 것과 윗선맞춤을 시도했다는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개발하는 등 사회 전역으로 가로쓰기가 퍼졌지만 신문에 도입한 것은 1988년 창간한
한겨레
가 최초다.세로쓰기용 글꼴은 글자를 같은 높이로 맞추기 위해 네모꼴 안에 짜여야 했다. 네모꼴 글꼴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자음과 모음 28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1만 1172자를 모두 만들어야 한다. 190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제시된, ‘1번’이라는 글자가 쓰인 어뢰추진체 때문이다.5년 이상 이 사건을 추적한
한겨레
신문사 기자인 저자는 재난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자세를 말한다. ‘천안함의 과학 블랙박스를 열다’는 저자가 쓴 서울대 과학사및과학철학 협동과정 박사학위 논문을 대중서로 다듬은 것이다.저자는 네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발표했고, 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통계분석실장(한국 노동 시장의 현황과 쟁점), 구본권
한겨레
신문 기자(인공지능시대가 묻는 인간), 강양구 프레시안 기자(과학기술의 덫에 갇힌 언론), 김정하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자율주행자동차의 최근 현황과 주요기술), 임종우 한양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만화가 조경규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30829
만화의 끝부분에 포함되어 있어서 좋죠. 또 다른 추천하는 만화는 바로 오늘도 냠냠냠 이에요. 오늘도 냠냠냠은 책으로 보지 않고
한겨레
신문 ESC의 맨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오늘도 냠냠냠으로 보았는데, 내용은 서울, 그리고 수도권에 있는 여러 맛집들을 소개하는 것이에요. 이 만화 덕분에 그동안 몰랐던 숨은 맛집을 알게 되었어요. 만화에 나온 맛 ...
지구 온난화로 사라지고 있는 세계 아름다운 장소 15곳!
기사
l
20220525
역시 많은 관광객과 사람들에 의한 도난과 훼손 등으로 구조물이 약해지고 있다 하네요.. 10. 아프리카 콩고 분지 출처:
한겨레
환경생태 전문 웹진 - 물바람숲 - 콩고분지 ‘은둔 코끼리’ 최악의 밀렵 대상 (hani.co.kr) 아프리카 콩고 분지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열대 우림으로 광산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 ...
새는 어떻게 죽을까요?(고양이의 비밀/새 사체 주의)
기사
l
20211214
새보다 설치류를 더 많이 먹어요. 그래서 어떤 고양이는 쥐만 잡았다고 합니다... 이유4 버드스트라이크(유리충돌) (출처:
한겨레
) 이 사진은 유리창에 부딪혀 죽은 새끼 박새입니다. 유리창에 부딪히면 뇌진탕 등 문제가 많이 일어납니다.. 정신차리고 날아가는 새들도 있지만 대부분 죽습니다. 환경부가 이런 새들을 조사했는데요 ...
거짓말을 하면 진짜로 코가 늘어난다고?!
기사
l
20211212
하는 우리는 아마도 이미 코가 늘어나신 적이 있을 거예요. 심지어 우리의 언어는 거짓말을 위해서 탄생했다는 말도 있죠. 출처 :
한겨레
-거짓말을 하면 늘어나는 사람들의 코 피노키오의 코가 늘어난 이유도 어쩌면 '카테콜아민'이라는 교감 신경 호르몬 때문일지도 몰라요. 이름부터 특이한 카테콜아민은 거짓말을 하여 언제라도 들킬 수 있다는 우리 ...
아마존강에 서식하는 동물들
기사
l
20210822
포식할 겁니다. 가끔 사육하는 사람도 있는데 야생에서는 물과 육지를 번갈아 다녀 사육시 수영장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출저:
한겨레
5.악어거북 이 사람의 손보다 큰 거북은 언뜩보면 늑대거북 같지만 이 거북은 악어거북 이라고합니다. 보통 북미에 분포하지만 남미에도 분포합니다. 크기는 약 101cm 입니다. 이름에 들어간 것처럼 악어처럼 사납습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