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한
뉴스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더 있습니다. 북한에서 유입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입니다. 한국에서 말라리아는 원래 '
학질
'이라는 이름의 흔한 질병이었다가 1979년 WHO가 '완전 퇴치'를 선포할 정도로 그 세력이 줄었던 역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1993년 북한 접경 지역인 경기 파주의 군부대에서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하며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모기 말라리아 전파 능력 없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있도록 항말라리아 유전자에 주목했다. 아프리카에서 주로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감비아
학질
모기(Anopheles gambiae)에서 인간의 피를 빨아먹은 뒤 활성화되는 유전자를 찾아낸 뒤 이 유전자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잘라내고 이 자리에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삽입했다. 실험 결과 이렇게 교정된 ... ...
[인간 행동의 진화] 위험한 출산, 더 위험한 믿음
2021.02.07
정조 4년) 가을 예천(醴泉)의 군사(郡舍)에서 애기 하나를 지웠고, 신축년 7월에 아내가
학질
로 인해 계집애 하나를 여덟 달 만에 출산했는데 4일 만에 죽었으므로 미처 이름을 짓지 못한 채 와서(瓦署)의 언덕에 묻었다. 그다음에는 무장과 문장을 낳았는데, 다행히 성장하였다. 그다음이 구장이고,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내리고 더위 먹은 증상을 치료하며(淸熱解暑), 몸이 달아오르는 증상을 없애고(除蒸)
학질
을 치료하는 것(截瘧)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투유유가 동의보감을 본 것은 아니다.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서 찾아냈는데, 서기 3세기경 동진 시대 갈홍이라는 학자의 저서다. 하지만 효과가 없었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인간 행동의 진화] 위험한 출산, 더 위험한 믿음
2021.02.07
정조 4년) 가을 예천(醴泉)의 군사(郡舍)에서 애기 하나를 지웠고, 신축년 7월에 아내가
학질
로 인해 계집애 하나를 여덟 달 만에 출산했는데 4일 만에 죽었으므로 미처 이름을 짓지 못한 채 와서(瓦署)의 언덕에 묻었다. 그다음에는 무장과 문장을 낳았는데, 다행히 성장하였다. 그다음이 구장이고,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내리고 더위 먹은 증상을 치료하며(淸熱解暑), 몸이 달아오르는 증상을 없애고(除蒸)
학질
을 치료하는 것(截瘧)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투유유가 동의보감을 본 것은 아니다.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서 찾아냈는데, 서기 3세기경 동진 시대 갈홍이라는 학자의 저서다. 하지만 효과가 없었다.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아마도 농경이 시작되면서 크게 창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거 드라이아스기 이전에는
학질
모기, 즉 중국얼룩날개모기가 번식하기 적합한 환경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석기 혁명 후 선사 시대가 끝나고, 역사 시대가 시작되었다. 도시 문명을 이룬 인간은 문자를 만들어 글을 쓰기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나눠요. 보통모기아과는 흔히 볼 수 있는 모기들로, 집모기와 숲모기가 있지요.
학질
모기아과에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가 있어요.저는 왕모기아과에 속하는 모기예요. 현재 전세계적으로 89종의 왕모기가 알려져 있는데, 광릉왕모기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유일한 왕모기지요.크기는 1.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학질
모기와 이에 기생하면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의 게놈 청사진이 ‘사이언스’ 10월 4일자에 발표됐다. 매년 3백만여명이 모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번 게놈 발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살충제 개발을 이끌 전망이다. 한 가닥의 중심 도체(導體)와 이것을 둘러싼 절연된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많은 질병을 몸에 달고 살았다. 누구나 기생충을 몸 안에 가지고 있을 정도였으며,
학질
이나 안질 또는 매독 같은 성병도 흔했다.사실 ‘우리’라는 말은 비단 지금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비록 얼굴을 맞대고 살아가지는 않더라도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삶을 ... ...
① 무엇이 환경호르몬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사례는 DDT. 1940년대 초 살충제로 사용돼 농업 생산을 크게 증가시키고, 모기를 박멸해
학질
이나 황열병으로부터 수백만 생명을 구했지만, 여기저기서 피해가 속출하자 1970년대에 사용이 금지된 물질이다. 같은 시기에 알드린, 일드린, 클로르단과 같은 농약 역시 비슷한 이유로 사용이 금지됐다.한편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