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리
풍수지리
지세
지형
d라이브러리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구하는 방법을 깊이 연구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시, 천문학,
지리학
,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가 소수를 확실하게 발견하기 위해 고안한 방법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다. 이 방법은 매우 단순하지만, 오늘날까지 확실하게 소수를 발견하는 이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5호
오래전부터 나일강과 아마존강의 길이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어요. 18세기 탐험가들과
지리학
자들은 두 강을 직접 탐사하며 수원과 하구를 찾고 강의 길이를 추정했지요. 육분의● 등의 도구를 이용해 측정 위치에서의 위도와 경도를 알아내고, 지도를 만들어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쟀어요. 하지만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수많은 학자가 알렉산드리아 대도서관에서 의학,
지리학
, 문학 등 각 분야의 지식을 수집해서 목록화하는 작업을 했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을 쓴 의도가 담긴 서문은 남아있진 않지만, 기하학도 당시 지식의 체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어요. 수학자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동아시아 의학사’가 발간됐다. 이때 땅에 대한 관찰과 사유를 담은 ‘한국 전통
지리학
사’, 한반도 자연조건과 정치 사회적 조건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한 전근대 한반도의 교통 체계를 다룬 ‘한국 전근대 교통사’가 함께 시리즈로 출판됐다.이후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는 매해 다양한 주제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자폭 하기 전 대본 올리기
포스팅
l
20240325
2막, 2장, 지리 학자의 크고 아름다운 별 무대는 지리 학자의 크고도 아름다운 별을 비춘다. 지리 학자는 책상에서 매우 두꺼운
지리학
책을 쌓아두고 여러 서적을 참고하며 지리서를 쓰는 중이다. 펜은 깃펜. 어린 왕자는 멀리서 숨을 헐떡이며 걸어온다. 마치 매우 긴 길을 걷다 온 것 같다. 지리 학자는 멀리서 오는 형체가 무엇인지 보기 위해 ...
히든어스 제작발표회에 다녀와서
기사
l
20230223
질문을 해주셔서 무척 고마웠어요. 히든어스의 뜻은 지구의 비밀이라고 합니다. 제작비는 3억~4억 이라고합니다. 그리고
지리학
교수님께선 촬영하시는 분께서 계속 식당이 끝날때까지 찍자고해서 밥도 제대로 못드셨다고 합니다. 또 한번은 도로위에서 캥거루를 마주치는 바람에 놀랐고........ 저는 어려웠던 점 말고 재미있었던 ...
멕시코 학교의 수업방식
기사
l
20170722
- physical education 체육 - art 미술 멕시코어 과목(스페인어) - matemáticas 수학 - español 스페인어 (국어) - ciencias naturales 자연 과학 - geografía
지리학
- formación cívica y ética 도덕 - computación 컴퓨터 기술 - laboratorio ...
[숭례문]숭례문의 숨겨진 비밀
기사
l
20150209
5건에 불과합니다. 세로로 쓰여진 이유를 사람들은 두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조선시대의 풍수
지리학
과 관련이 있는 관악산 화기설(火氣說)입니다. 한양의 지세(地勢)를 풍수학적으로 봤을 때 조산(朝山)인 관악산에 비해 궁궐이 있는 한강 북쪽의 지세(地勢)가 너무 약했습니다. 그리고, 모양이 불꽃과 같아 화기를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이어진 1400㎞의 산줄기입니다. 여기에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뻗어 나온 14개의 작은 산줄기들이 모여 한반도의 산을 이루고 있지요.
지리학
자들은 한반도가 세계에서도 보기 힘든 독특한 지형이라고 말합니다. 계산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땅의 70%가 산지라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서해안 김제 등에 일부 넓은 평야가 있지만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