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존재
생존
존속
자립
d라이브러리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있는 대상이 가장 오래됐다고 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고대 문명에서 셈과 계산은 국가의
존립
을 위해서 꼭 필요했어요. 국가는 세금을 거둬들여서 정치 체제를 유지하므로, 관료가 되려면 세고 계산하는 능력이 좋을수록 유리했습니다. 고고학자가 발굴한 기록물에 그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요. 한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증원 논란이 뜨겁다. 반도체 정책이 왜 중요한가.반도체는 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
의 문제다. 삼성전자처럼 시가총액이 100조가 넘는 기업이 2~3개만 더 있어도 1인당 국민소득이 6만 달러(약 7970만 원)는 될 것이다. 한국은 대만과 경쟁 중이고, 미·중은 반도체를 내재화(자국생산)하려고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기억을 떠올려 “과학은 사람들의 삶 속으로 발산하는 학문이지만, 동시에 혼자만으로
존립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과학과 인문학, 철학, 예술이 하나로 수렴할 수 있는 학문을 하고 싶다”는 꽤 그럴싸한 대답을 만들어냈다. 당시 면접관이 “많이 준비해 온 티가 난다”는 피드백을 해 줘 내심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온 정보가 서로 동일했다.마지막으로 ‘편평도 문제’가 있는데, 현재 우주가 ‘
존립
가능한 우주인가’ 하는 문제다. 현재 우주의 밀도는 우주를 편평하게 만드는 임계밀도(Ω=1)와 거의 일치하는데, 그러려면 약 138억 년 전(우주 나이)에 우주의 밀도는 임계밀도에 훨씬 더 가까웠어야 한다. 예컨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