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눗수
수문
둑
수로
제물
천수
약수
스페셜
차례상에 담긴 음양의 법칙
KISTI
l
2014.09.05
반찬을 의미하는 탕, 적, 메(밥), 갱(국) 등이 나머지 세 줄을 장식하고 있다. ■ 진설과
제수
에 담긴 의미들 1열은 제주와 가장 멀리 있는 곳을 삼는다. 1열에는 메(밥)와 갱(국)을 놓는다. 추석엔 메(밥) 대신 송편을 올린다. 송편을 올리는 이유는 송편이 추석의 상징적 의미인 둥근 달을 표현하기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현대에 만든 바이올린 3대와 스트라디바리우스 2대(각각 1700년, 1715년 제작), 과르네리 델
제수
(1740년 제작)를 직접 연주하게 했다. 그리고 소리가 가장 좋은 악기를 고르게 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촉감만으로 오래된 바이올린을 구별해내지 못하도록, 최근에 만든 바이올린의 표면도 인위적으로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제주도 특산으로 회나 구이, 옥돔 미역국이 유명하며 오래전부터 산모의 산후 조리나
제수
용으로 사용해 왔다. 자리돔과의 자리돔은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소형 물고기로 남해나 제주도 근해에 살며, 고소하고 비린 맛이 없는 자리 물회로 유명하다. 놀래기과의 혹돔은 이마에 커다란 혹이 달려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건어물과 달리 전혀 손질을 하지 않고 온몸을 통째로 바닷바람에 말린 생선이기 때문에
제수
용으로도 값진 대우를 받는다. 옛날 행상들의 보따리 속에는 항상 굴비가 주요품목으로 들어 있었고, 삼베나 한지로 정성껏 싸서 시골로 찾아다니면 관혼상제를 만난 집에서는 무리를 해서라도 사 두지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많으면 다음 해에는 수확이 크게 떨어진다. 그런데 해마다 제사는 정해져 있어 필요한
제수
를 줄이기는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조상들은 ‘대추나무 시집보내기’를 해서 수확을 늘렸다. 이는 대추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두는 것이다. 보통은 돌멩이로 인해 가지가 벌어져 더 많은 잔가지가 생겨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이틀전에 그려놓고 업로드는 이제 하는 나 보소
포스팅
l
20240622
진시마오 그렸는데 왜 폭망한거 같지?뭐야, 진시 울지마. 울면
제수
없잖아.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
기사
l
20151210
구수영은 숙청대상 1호에서 느닷없이 반정공신으로 탈바꿈을 하게 됩니다. 게다가 그 공로를 인정받아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에
제수
되었으나 이후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결국은 파직되고 말죠. 사정이 이러하니 인조반정은 명분이 부족한 헛점투성이 반쪽짜리 쿠데타였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신수근의 누이가 연산군의 왕비였고 그의 딸이 진성대군의 ...
백사 이항복 선생의 묘를 다녀오다 당쟁에 맞서다 당파에 희생된 한 선비의 이야기
기사
l
20151111
어긋나 여러 올바른 사람이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가니, 공은 비로소 조정에 있는 것을 편치 않게 여겼다. 나중에 두 차례 정승자리에
제수
되었으나 사양하고 그대로 있지 않았다. 광해가 즉위했을 때 다시 의정부에 들어간 것은 선조(先朝)의 구신(舊臣)으로서 다시 나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었으나 시사가 크게 잘못된 점이 있었으니, 어찌 국가의 불행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