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북두성
북두칠성
뇌사
플로우
d라이브러리
[통합과학 교과서] "음머~! 고기를 주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메고 있던 것으로 보이는
쟁기
도 저 멀리 내팽개쳐져 있었지요. 꿀록 탐정이 말했어요.“
쟁기
질을 하다 말고 널브러지다니, 그 유명한 ‘소가 된 게으름뱅이’신 모양이군요. 웬 할아버지가 준 소 탈을 쓰고 소가 되었다죠? 그나저나 주인댁은 어디 가셨습니까?”“아이고, 꿀록 탐정님. 내 이야기 좀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얕은 곳은 사람이 직접 잠수해 설치하거나 커다란
쟁기
를 써요. 마치 밭을 가는 것처럼
쟁기
가 바다 밑바닥을 파내며 케이블을 묻지요. 수심이 깊은 곳이나 바다 밑바닥이 단단할 경우에는 수중 로봇의 도움을 받아요. ‘원격 조종 수중 로봇(ROV)’이라고 불리는 이 로봇은 팔이 달려 있어서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함정이란 1798년 ‘인구론’을 쓴 토머스 맬서스의 이름을 딴 것이다. 물론 농업사회도
쟁기
같은 새로운 도구가 도입되거나 사회 질서가 안정된다면 성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화학 비료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농업에는 한 가지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수확체감’ 문제였다.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쟁기
를 끄는 소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진 한자예요. 뜻을 나타내는 ‘소 우(牛)’와
쟁기
와 모양이 닮은 ‘말 물(勿)’을 더해 만들었지요. 이 글자를 보면 옛 사람들이 소를 만물을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농사로 식량을 만들어내던 시대에 소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잘 알 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동지와 팥죽, 귀신아 겟 서거라~!
기사
l
20211225
아니었다는 사실도 또 한 번 깊게 놀라네요~^^. 동짓날이 되어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연못의 수면이 얼어붙어 얼음의 모양이
쟁기
로 밭을 갈아놓은 것처럼 된다고 합니다~. 저는 이런 장면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서 그저 궁금할 다름이네요! 혹시 보신 분이 있으신가요? 그 생생한 후기를 들어보고 싶네요^^. 또 동지에는 동지부적이라 하 ...
봄철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10404
목동자리에 대해 정리하자면 이렇게 됩니다.
쟁기
를 발명한 아르카스의 별자리. 가장 밝은 별:아크투르스 다음은 천칭자리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천칭자리는 정의의 여신인 아스트리아가 틀고다니는 인간의 잘잘못(잘하고 잘하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