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우리 민족의 혼, 한글과 세종대왕의 비밀을 파헤치다!기사 l20251009
- 1429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송나라에서는 종의 크기에 따라 음계가 조절되었던 것과 다르게 조선에서는 크기는 같으나 음계는 다르게 제작되었습니다. -편종의 모습7. 편경- 단단한 옥돌(경석)로 만들어 돌의 두께에 따라 음정이 결정되는 12율계 4청성의 아악기로 소리가 청아합니다. 고려 시대에 중국에서 처음 들여온 것을 ...
- 모차르트의 장난기가 드러나는 곡, 음악적 농담기사 l20240209
- 섞여 있습니다.이런 불규칙함이 음악의 조화를 만들고 더 아름답게 만드는 것 입니다.그런데 모차르트는 이 부분에 온음만 있는 온음음계를 넣습니다.바이올린의 높은 음들은 음의 간격이 좁아 연주가 어려운데요.바로 이점을 활용한 것입니다.바이올린이 실수를 하는 부끄러운 장면을 만든 것이죠. 5.마지막 엔딩? 저는 그래도 마지막은 잘끝내야 박수를 쳐 ...
- 칼림바란 무엇일까~?기사 l20220215
- 없으므로 중지를 그냥 뒷 부분에 대면 됩니다! Q. 튜닝은 뭐고, 어떻게 하는 거예요? A. 튜닝이란 조율의 다른 말입니다! 기본 음계인 도, 레, 미, 파, 솔 등 계이름을 조율하면 파b와, 솔# 같은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답니다^^ 그리고, 조율하지 않은 기본 칼림바의 중심음은 도입니다! 왜냐하면 맨 아래 기다란 건반의 음이 ...
- 저희 바이올린 쌤은 설명을 너무 추상적으로 하십니다 (환멸포스팅 l20211114
- 음계를 잡으래요활 대로 소리를 내래요팔로 작은 삼각형을 만들래요 뭐 어쩌라는거징자꾸 입으로 효과음 내시면서 뜨아아.. 하지말고 뜨아아아~~ 하고 소리를 내래요스케쥴이 잘 되고 있대요 ㅋㅋㅋㅋㅋㅋㅋ 이건 진짜 뭔소린지 모르겠음저희 바이올린 쌤이 설명을 추상적으로 하시는 할머니신데... 사투리까지 쓰세요.. 그래서 쌤이 하시는 말중 반절은 못알아들 ...
- 섭섭박사의 마이랩앳홈! 하모노 그래프를 만들다기사 l20210125
- 리사주 도형이라고 합니다. 리사주의 연구를 더 발전시킨 사람은 스코틀랜드의 수학자 위그 블랙번 인데요, 위그 블랙번은 음계를 도형으로 표현하기 위해 하모노그래프 장치를 고안했습니다. 하모노그래프는 소리의 진동수에 따라 단진자(끈에 추를 연결한것)가 움직이는 자취를 도형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하모노그래프에 대해 알아봤으니 만들어봅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