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라온(RAON)'을 짓고자 시작되었다. 사업단에게 2017년은 매우 중요한 해다.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 내에 가속기 건물을 착공하고, KAIST 문지 캠퍼스에 마련된 초전도가속기 시험시설에서 빔을 인출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기 때문이다. 사업단 장치구축사업부의 이상일·최숙·박범식 연구위원을 만나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동아사이언스                                        l2014.08.04
                            
- 예가 온천으로, 화산이 없는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온양, 수안보, 동래, 유성 등에서 온천이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다.   땅속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   지열(地熱, geothermal)은 영어로 땅을 의미하는 ‘Geo’와 열을 의미하는 ‘therm’ 합쳐진 것으로,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땅속에 ...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2014.05.14
                            
- 전문가로 구성된 팀의 운영을 시작했다. 4월의 초록이 한창인 어느 봄날. 대전시 유성구 전민동에 자리한 IBS 본원에서 통‧번역사 5명을 만났다. IBS는 사업단별로 운영되어 연구 자료뿐 아니라 행정 서류도 영문 번역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 IBS는 기존에 이 업무의 대부분을 외주 업체에 맡겨 진행해 ... ...
                            
                                                              
- 별에서 온 운석, 높은 연구 가치로서 운석 판별법 KISTI                                        l2014.03.24
                            
- 25km에서 공중분해 됐으며, 이것이 낙하하여 진주 운석이 된 것이다. 아마 이 과정에서 유성의 진입 속도는 대기와의 마찰로 없어지고 지구의 중력만으로 자유 낙하하여 결국 시속 100~150㎞의 종단 속도(공기 저항으로 더 이상 빨라지지 않는 속도)로 지상과 충돌, 큰 분화구는 생기지 않은 것으로 ... ...
                            
스페셜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대기권과 지구의 내부-1기사                                        l20250405
                            
-  3번째, 중간권은 높이 50~80km의 구역입니다. 공기의 대류현상이 일어나지만 수증기가 없어서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유성이 타기 시작합니다. 상부는 -90°C로, 가장 기온이 낮습니다. 마지막으로 열권은 높이 80~1000km의 구역입니다. 오로라가 관찰되며, 밤낮의 기온차가 매우 큽니다.            전파를 반사하는 ...
                                                        - 장송의 프리렌 더빙판 봤어요 (스포일러 있음)포스팅                                        l20240823
                            
- ...번안 안 되었지만 진짜 멋있어요 꺄웅 시작했당 힘멜... 죽지 마세요.. 음악이 진짜 멋있었어요작화도 정말.. 프리렌은 풍경이 예술이예요사진엔 유성이 많이 안 나와서 아쉽네요  (페른 예쁘더라고요) 엔딩곡 요루시카 노래라고 알고 있었는데 이노래도 좋더라고요!프리렌 목소리는 원어판에 비해 약간 높아졌는데 개인적으로 프리렌 외모랑 잘 어울리는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우주과학을 생각하다.기사                                        l20240625
                            
- 안녕하세요. 이윤후 기자입니다!  저는 2024년 6월 10일, 어린이우주기자단 활동 미션에 운좋게 선발되어 대전 유성에 있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다녀왔습니다.  원래 갖고있던 다누리호가 그려진 티셔츠도 입고 갔어요.  (*참고로, 지질자원연구원과 이어진 탄통천길은   벚꽃이 정말 예쁘답니다!    내년 봄에 지질박물관도 관람하고   벚꽃도 구 ...
                                                        - 추천하는 우주 관측 앱, 스텔라리움과 솔라 시스템 스코프기사                                        l20240608
                            
- 과학 수업 때 알게 된 앱이에요. PC 버전과 Mobile 버전을 제공하는 데, Play Store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죠. 스텔라리움은 별자리, 행성, 유성우, 외계 행성, 심지어 국제우주정거장이나 스타링크 인공위성도 볼 수 있어요. 또한 세차운동(회전축이 외부 돌림힘으로 인해 비틀어지는 운동)도 계산해요. 나중에 알아보니 60만개 이상의 항 ...
                                                        - 이끼,곰팡이 취급하면 손해다!기사                                        l20240606
                            
- 줄이려면 꼭 필요한 식물입니다    저는 이끼의 관심도 많고 또 좋아하다보니 이끼어항, 테라리움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대전 유성구 장대동 노플랜트 노라이프 )    여기서 테라리움을 만드려고 신청을 하고 만들었습니다  먼저 유리병에 이끼 식재용 흙을 넣고 꾹꾹 누르고 물을 뿌려줍니다  비단이끼,너구리꼬리 이끼등 다양한 이끼를 식재해줍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