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광
배경
전망
경치
스페셜
예술가는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라본 ‘과학+미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회화론’에서 “가까이 있는 사물의 밝은 부분은 먼 곳의 밝은 부분보다 더 밝으며,
원경
의 어두운 부분은 근경의 어두운 부분보다 덜 어둡다. 가까이 있는 사물은 붉은 색조를 띄며 먼 곳에 있는 사물은 푸른 색조를 띠는데, 이는 우리의 눈과 사물 사이에 ‘공기’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한글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읽기 속도, 정확도 등을 실험한
원경
대 당시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연구원의 1990년 연구에서도 네모틀과 탈네모틀 사이에 가독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 연구원은 논문에서 “익숙함의 차이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장치 없이 지속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 수 있다. 또 제임스 웹 우주망
원경
은 허블우주망
원경
보다 100배 넓은 시야로 볼 수 있다. 노병 허블의 시대는 저물고 있지만, 그 뒤를 잇는 후임이 빈자리를 메우며 우주를 응시하는 인류의 눈이 돼 줄 것이다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
원경
,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 Hubble “인간은 오감으로 자기 주변의 우주를 탐험한다. 우리는 이 모험을 과학이라 부른다.”_에드윈 허블지난 30년 동안 우주에서 활약하며 인류 ... 함께 대형우주망
원경
4기 중 하나로 활동하던 적외선 망
원경
인 스피처우주망
원경
은 올해 1월 30일 16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퇴역했다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목적은 초보자들을 위한 테니스의 ‘표준모형’을 만드는 일이다. 테니스 선수 출신인
원경
주 한국실업테니스연맹 경기위원장은 “코치들마다 강습법이 다르고, 블로그나 유튜브 등 인터넷에는 테니스의 기본기를 설명하는 자료가 중구난방으로 올라온다”며 “잘못된 자세가 익숙해지면 고치기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리 민족의 혼, 한글과 세종대왕의 비밀을 파헤치다!
기사
l
20251009
세종대왕의 이름과 자는 무엇일까요? 세종대왕의 이름은 이도이고 자는 원정입니다. 세종대왕은 아버지 태종 이방원과 어머니
원경
왕후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습니다. 세종대왕이 왕자였을 적에는 세종대왕이 아닌 충녕대군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그럼 여러분은 혹시 양녕대군을 아시나요? 맞습니다. 세종대왕의 형이자 첫째로 태어난 왕자가 바로 양녕대군입니다 ...
원소 도감 1. 수소부터 붕소까지
기사
l
20250502
기호는 'Be'이다. 먹어보면달다. (실제로 하면 저는 책임 못 집니다. 이유는 다음 문장에서 알 수 있다)1급 발암물질이고 우주
원경
의 거울 등에 사용된다. 붕소: 원자번호는 5번이고, 이것 역시 고체이며 기호는 'B'이다. 매우 단단하고 불을 잘 견뎌낸다. 붕규산 유리, 슬라임 등에 사용된다. 원소 도감 2 에서는 탄소부터 네온까지 알아보자 ...
별이 쏟아지는 영양의 밤 하늘 - 영양 반딧불이천문대
기사
l
20230911
카메라로 찍을 수가 없어서 제가 본 것과 제일 비슷한 사진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견우성을 관찰하는 두번째 망
원경
) 두 번째 망
원경
으로 여름철 대 삼각형에 있는 견우성을 보았습니다. (출처. 어린이천문대 알골선생님) 여름철 대 삼각형은 밝은 별로만 이루어져있어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견우(독수리자리 알타이르) ...
닥터프로그 - 230402 - 1
탐사기록
l
20230402
경기여주황학산수목
원경
기2 나무는 개화했어요 ...
DMZ(비무장지대)와 통일전망대
기사
l
20220729
있는 금강산을 보고 한국군초소도 함께 보았습니다. 출처:둘다 제가 찍은 사진 금강산을 보니 직접 올라가고 싶어졌습니다. 디지털망
원경
으로 북한을 보니 멀게만 느껴졌던 북한이 생각보다 가까웠습니다. 북한이 잘 보이니 북한과의 전쟁이 코앞으로 다가올 것 같아서 조금 무서웠습니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고 통일이 되기를 바라면서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