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의
예절
에티켓
범절
의례
인사
교제법
뉴스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계란을 먹기 전에 더 굵은 쪽 끝을 깨는 것이 모두가 지키는
예법
이었습니다. 그런데 현 국왕 폐하의 조부께서 오랜 관습에 따라 껍질을 깨다가 손가락을 베이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국왕 폐하께서 계란의 가는 쪽 끝을 깨야 하며 위반 시에는 엄하게 벌한다는 포고를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계란을 먹기 전에 더 굵은 쪽 끝을 깨는 것이 모두가 지키는
예법
이었습니다. 그런데 현 국왕 폐하의 조부께서 오랜 관습에 따라 껍질을 깨다가 손가락을 베이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국왕 폐하께서 계란의 가는 쪽 끝을 깨야 하며 위반 시에는 엄하게 벌한다는 포고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보관돼 있는 ‘국조오례의’ 전권. 당시 왕실과 사대부 등이 지켜야 할
예법
이 기록돼 있다. 조선 초기에 만들었던 ‘회곽묘(회격묘)’ 양식은 국조오례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왕의 미라도 존재할까?회곽묘를 만드는 방법은 고려 말 한국에 주자학과 함께 전해진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찾을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주자 성리학의 영향으로 생긴 매장 풍습이다. 주자가 유가의 관혼상제(冠婚喪祭)에 관한
예법
을 정리한 책인 ‘주자가례’에는 사람이 죽으면 일종의 석회인 회격으로 무덤을 만들어야 한다는 풍습이 전해진다. 이 가르침에 따라 조선 초 성리학자들은 돌로 만들어 온 석실묘를 회격묘로 바꿀 것을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헬기에서 내려다보고 산불 신고를 했을 정도라나요.겨우살이 나무 아래의 키스
예법
은 남성이 여성에게 키스를 할 때는 겨우살이 열매 하나를 하나 따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열매가 다 떨어진 나무 아래를 처녀가 지나가면 다음해에도 결혼을 못한다고 믿었다나요. 그렇다면 부안으로 내려가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머리에 향수를 뿌린다한다. 잘린 목에서 피비린내가 덜 나게 하기 위함이다. 사후의
예법
까지 이렇게 차려주는 장인정신(匠人精神)은 칭찬할만하다. 1965년 우주배경복사선(cosmic background radiation)을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펜지아스(A. Penzias)와 윌슨(Wilson) 역시 안테나의 미세한 잡음을 사소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저희집 자캐서사 보고가시죠
포스팅
l
20250328
이릴던은 히알드라 가문을 넘어서 귀족 전체와 이 나라 왕족에 대한 증오를 품게 되었다. 머리가 비상한 편 이었던 이릴던은 귀족
예법
과 지식을 완벽하게 갖춰 더이상 괴롭힘 당하지도 어색해 하지도 않았지만 귀족 사회에 대해 알면 알수록 더욱 증오가 커졌다. 어느덧 이릴던은 장성하였고 히알드라 부인의 아이도 후계자가 되기 적절할 만큼 자랐다. 걱정과 ...
글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다고?
기사
l
20211016
일도 드물었어요. 조선에서 안경은 사대부층만 쓰는 것이었고, 윗사람 앞에서는 안경을 쓸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안경
예법
때문에 자살한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 사람은 바로 헌종 시대의 문신 조병구입니다. 이조판서까지 지낸 조병구는 안경을 쓰고 자신의 여동생인 신정왕후를 만났어요. 하지만 이를 본 헌종은 "외척(왕비의 친척)의 ...
조선시대 사람들도 안경을 썼을까?
기사
l
20210907
일도 드물었다고 합니다. 조선에서 안경은 사대부층만 쓰는 것이었고, 윗사람 앞에서는 안경을 쓸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안경
예법
때문에 자살한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 사람은 바로 헌종 시대의 문신 조병구입니다. 이조판서까지 지낸 조병구는 안경을 쓰고 자신의 여동생인 신정왕후를 만났습니다. 하지만 이를 본 헌종은 "외척(왕비의 친척) ...
서울의 환구단에 다녀와서!
기사
l
20201020
불렀다고 합니다. 이 자리에는 조선 후기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남별궁이 있었는데, 고종이 1897년 황제에 즉위하면서 제국의
예법
에 맞추어 환구단을 건설하였다고 해요. 1897년 10월에 완공된 환구단은 당시 왕실 최고의 도편수였던 심의석이 설계를 하였다고 합니다. 환구단은 제사를 지내는 3층의 원형 제단과 하늘신의 위패를 모시는 3층 팔각 건 ...
조선왕조실록 읽어드립니다 1권 1책
포스팅
l
20200211
제사(?)를 지낼 때는 대부(정 1품~종 4품)의
예법
에 따르고, 종묘에서와 같이 할 수도 없다는 이야기이니 높은 품계를 가진 신하의 제사
예법
에 따른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혜경궁(惠慶宮)께도 또한 마땅히 경외(京外)에서 공물을 바치는 의절이 있어야 하나 대비(大妃)와 동등하게 할 수는 없으니, 유사(有司)로 하여금 대신들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