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체
지연
체납
연기
뉴스
수심 9533m 해저 생태계…빛 없이 에너지 얻는 관벌레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불리는 환형동물 시보글리니대(학명 Siboglinidae)류와 조개처럼 두 장의 껍데기가 있는
연체
동물을 일컫는 이매패류가 지배하는 생태계를 발견했다. 거리로는 2500km 이상, 수심으로는 5800m에서 9533m에 이르는 거대한 생태계다. 발견된 동물들은 지구 지각판이 갈라진 단층에서 새어 나오는 황화수소와 ... ...
고생물 ‘넥토카리디드’ 50년 정체 논란에 마침표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다수의 넥토카리디드 화석이 발견되면서 두 개의 촉수 같은 다리를 지닌 원시 두족류
연체
동물이라는 주장이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됐지만 정체에 대한 논란은 이어졌다. 박 연구원과 빈터 박사후연구원은 덴마크 연구팀과 함께 북위 82도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Sirius Passet)에서 신종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다시 나뉩니다. 선구동물은 입이 먼저 생기고 그다음 항문이 생겨요. 절지동물과
연체
동물을 포함해 지구상 대부분 동물이 선구동물입니다. 후구동물은 그 반대입니다. 항문이 먼저 생겨요.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 그리고 불가사리가 포함된 극피동물이 후구동물에 속합니다. 후구동물과 ... ...
직각 소용돌이? '피카소 달팽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제공 스페인 출신 유명 화가 피카소의 그림을 닮은 모양의 달팽이가 공개됐습니다. 국제
연체
동물학자팀은 4월 23일 A. 피카소(Anauchen Picasso)라고 이름 붙인 새로운 초소형 달팽이 종 연구를 공개했습니다. A. 피카소는 태국, 캄보디아 등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 살아요. 크기는 종에 따라 3~5mm 정도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
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초기
연체
동물의 진화 과정을 밝혀내는 데 실마리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오늘날
연체
동물 안에서 아쿨리페란의 수가 콩키페란 수에 비해 적은 것에 대해 이유를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org/10.1038/s41586-024-08312-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
2022.06.25
생물의 흔적을 볼 수 없다니 이상한 일입니다. 자세히 관찰하면 소라나 전복 같은
연체
동물인 복족류의 껍데기 화석만 드물게 나옵니다. 네모난 자국을 낸 범인은 소금 (왼쪽) 석회암에 남은 길쭉한 모양의 석고 결정. 석고는 경도가 약하여 분필이나 조각상 등에 쓰인다. (오른쪽) 구문소 ... ...
이종호 장관 후보자 부부 증여세 탈루 의혹…"장관 지명후 납부. 고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000만 원 증여세를 완납했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세금 고지서가 부과되면 한 번의
연체
나 체납사실이 없었다”며 “세무 관련 전문지식이 부족할 뿐 고의 탈루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납세에 있어 면밀하게 살펴보지 못했던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향후 보다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단백질 그물 형태를 발견했다고 28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절지동물과
연체
동물 등 동물의 흔적이 담긴 화석은 5억 4100만년 전 캄브리아 생물대폭발 시기 주로 발견된다. 해면도 이 시기 화석에서 발견되는 동물 중 하나다. 오늘날도 바닷속에 존재하며 목욕용 스펀지로도 쓰이는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동물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3D 프린터로 ... ...
[가상 인터뷰] 문어가 다리로 맛을 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일리가 취재해 봤어.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문어야. 다리가 여덟 개 달린
연체
동물이지. 내 다리는 조금 특별해. 신경세포가 뇌보다 다리에 더 많이 집중돼 있어, 뇌의 지시 없이도 각 다리가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지. 최근 내 다리에 또 다른 능력이 추가됐어. 4월 13일, 미국 ... ...
팩트체크7.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오를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것만으로 이와 같은 자연 피폭량을 맞추려면 2500kg의 생선 또는 170kg의 갑각류나 230kg의
연체
동물을 섭취해야 한다. 연구를 수행한 조르디 비베 배틀레 연구원은 “정화 처리되지 않은 물에서 바다와 밀접 접촉하는 경우에도 (피폭으로 인한)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도쿄전력은 올해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저 나름의 신경계를 가지고 자신의 생존에 충분한 계산을 한다. 한 예로 문어와 같은
연체
동물은 큰 대뇌 없이 소수의 신경 세포가 신경절을 이뤄 온 몸에 분산된 신경계를 가지고 있지만 고도의 지능을 가진 것처럼 행동한다. 심지어는 단세포 생명체도 외부 자극에 반응해 도망가거나 먹이를 찾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안녕하세요
연체
동물이에요
포스팅
l
20250710
유연성 32.3 나온 미친 인간이에용 도덕시간에 장기자랑 유연성 할라고 준비..는 개뿔 걍 쳐 놀앗는데 어떻게든 되겟져 머 걍 머 걍 해야즤 어캐용(정신나감) ...
문어는 왜 심장이 세 개일까? 바다 생존의 과학
기사
l
20250527
사실, 알고 계셨나요?그렇다면 왜 심장이 그렇게 많은지 궁금하지 않으세요?문어는 왜 심장이 3개일까요?문어는 바닷속에서 사는
연체
동물로, 우리처럼 혈액을 온몸에 순환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바닷물에는 공기보다 산소가 훨씬 적기 때문에, 산소를 더 효과적으로 운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문어는 심장이 무려 3개나 있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답 ...
블라인드를 읽고싶어요
포스팅
l
20241125
학교도서관에는 저번에 제가 반납한 1권뿐이군요.. 나머진 다 누가 빌렸으려나.. (+친구는 수상한 이웃집보고싶은데 자꾸 누가 선수친다고(?) 합니다. 웃긴건 빌린애들이 1,2학년이라그런가 다들
연체
되서 반납한다네요..) ...
바다의 토끼, 군소
기사
l
20240823
더듬이가 2개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 군소 출처: 메디칼통신 군소는 문어나 오징어처럼
연체
동물이라 몸이 물렁합니다. 제가 실제로 만져보지는 않았지만 저희 가족이 만지고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군소의 재미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징어나 문어는 위험을 느끼면 먹물을 뿌리 ...
[도착 : 상반의 고귀함] 축전 및 공지
포스팅
l
20230927
않습니다축전은 당일날 늦은 시각이나 며칠 지나서 주시면 조금 그렇겠지만 N주년은 약간 범위도 넓고 캐릭터도 많아서 1주일 정도
연체
돼도 상관없고요 특혜는.. 제 사랑....입니다죄송합니다 특혜는 일러레 팀 분들께 따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신청을 원하시는 분들은 우선yuna6250@naver.com으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