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마
어머니
어무이
d라이브러리
[과학 뉴스] 빙하기 매머드, 평생 지구 두 바퀴 돌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➊ 매튜 울러 교수와 매머드 상아의 크기 비교. ➋ 매머드 상아를 세로로 쪼갠 모습. 전체 길이는 약 1.7m다. ➌ 매머드 복원도. 1만 7100년 전,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쪽 끝자락 알래스카. 거대한 수컷 매머드 한 마리가 언덕 주위를 배회하다 주저앉습니다. 28년 동안 지구 두 바퀴에 달하는 먼 거리 ... ...
[과학뉴스] 용의 이빨 모양도 알 수 있는 규칙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예측할 수 있는 규칙을 발견한 것이지요. 연구팀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 코끼리의
엄니
, 새의 부리 등 200개 이상의 표본을 3D 모델링한 뒤, 각각의 기본적인 모양을 원뿔이라고 설정했어요. 그리고 원뿔의 가로 단면인 원의 반지름과 세로 단면인 삼각형의 양변이 각각 어떤 속도로 자라느냐에 ... ...
[특집] OX퀴즈! 겨울잠, 얼마나 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그들은 당시 남극 지방에서 살고 있던 현생 포유류의 먼 친척인 ‘리스트로사우루스’의
엄니
를 잘라 단면을 관찰했어요. 그러자 나무의 나이테처럼, 주기적으로 성장이 느려진 어두운 무늬가 드러났죠. 이런 무늬는 따뜻한 남아프리카 지역의 리스트로사우루스 화석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어요. ... ...
고라니 vs 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이 이빨은 다른 수컷 사슴들의 뿔과 같은 것이에요. 수컷 고라니들은 짝짓기 철이 되면
엄니
를 이용해 다른 수컷과 격렬하게 싸우고, 싸움에서 이긴 수컷이 암컷을 차지하거든요.고라니는 숲과 연결된 길에서 자주 마주칠 수 있어요. 먹이를 찾아서 사람들이 사는 곳으로 자주 내려오거든요. 그런데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노틀담의 파리 후기
포스팅
l
20240512
와 뭐라말해야될지 알던 띵적입니다배우들 음색미쳤고 얼굴미쳤고에스메랄다 이쁘고구랭그와르 잘생기고프롤로 악역같은데 개멋지고페뷔스 쓰레기같고; (두여자를 사랑하고 하나 배신;)암튼 캐릭터 감정을 잘표현한 작같음뮤덕 입덕 1일차아쉬운건 vip석이라 표정연가를 잘 못봤어요 잉조명은 미침Op석도 괜찮을듯 굿즈 비싸서
엄니
가 안사주심 돈들고 올걸요 잉 동 ...
9세대 포켓몬의 모든것!!!
기사
l
20230406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3번째는 패러독스포켓몬입니다! 출처:포켓몬코리아 위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은 위대한
엄니
인데요. 이름이 특이하다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이런 포켓몬들은 패러독스 포켓몬인데 아마(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스칼렛,바이올렛게임에서 등장할 것 같네요. 어쨌든 이렇게 다양한 포켓몬이 나온 9세대 포켓몬 어떠신가요? 여러 ...
전대그물 10개 넘게 발견! 땅거미 탐사
기사
l
20211005
속으로 개미 같은 먹이들이 들어오면 재빠르게
엄니
로 공격해 먹이를 잡아먹는다고 합니다. 땅거미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엄니
로 물어버리기도 한다고 해서 처음에는 좀 무섭기도 했지만 절호의 찬스가 왔다 싶어서 손에 올려서 더 자세히 관찰해 봤습니다. 손바닥에 올려놓고 관찰을 하고 있는데 잽싸게 제 옷 소매 쪽으로 이동하길래 ...
엄청 !! 강력한 !!! 독을 가진 동물 top 5 를 소개합니다!!!
기사
l
20210721
네이버 동생물 사전 바다뱀은 바다에서 살고 뱀 중에서 독이 가장 강해요. 하지만 성질이 순해서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적어요. 또
엄니
가 짧아서 잠수복을 뚫진 못해요. 4위 진드기 출저 네이버 사전 진드기는 산책 후 꼭 몸에 붙어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특히 반려견의 털에 자주 붙어요. 꼭 감염 여부를 확인하시고 잡균과 벌레들이 옮겨 ...
에오세 시대에 살았던 멸종동물 top3
기사
l
20210711
모를 바닷속 포유동물' 이라는 뜻이예요. 이 바다 생명체는
엄니
가 2개 있었는데,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무척 길었습니다. 이
엄니
들은 먹잇감을 찾는 원시적인 형태의 *음파탐지기 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음파는 동물의 두개골을 통해 증폭되기 때문이죠.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소리를 이용하는 감각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