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섹스
남녀
성교
성행위
성욕
자웅
웅자
스페셜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
KISTI
l
2015.09.27
중국에서는 긴 수염을 두고 ‘해로(海老)’ 즉 바다의 노인으로 표현했다. 또한 새우는
암수
가 구별되는데 크기만 보면 암컷이 수컷보다 두 배 이상 크다. 암컷은 붉은 보랏빛을 띠며, 수컷은 하얀색에 가까운 노란색을 띤다. 대하는 초가을, 쌀쌀해질 무렵이 특히 좋은데 이는 대하가 몸을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2.27
AFAS의 목표는 0~24개월령까지 월령마다
암수
60마리씩 키우고, 그 이상 나이든 쥐도
암수
20마리씩 보유하는 것이다. 쥐 한 마리가 태어나서 늙어가는 과정 전체를 추적하기 위해 생쥐 전용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와 행동분석기도 구비했다. 문 부장은 “전라남도는 고령자 비율이 21.4%로 전국에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소개하는 다정한 메시지들이다. 작가는 책을 통해 임신, 출산, 양육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암수
가 공평하게 분담하는 해마부터, 바닷속을 무대처럼 누비는 우아한 자태에 다이버들도 매료되는 만타레이까지 다양한 바다생물을 소개한다. 그 배경엔 바다에 대한 깊은 애정뿐만 아니라 환경보호를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만들었어요. ‘갓 태어난 토끼 한 쌍이 있다. 이 토끼 한 쌍은 두 달 후부터 매달
암수
한 쌍의 토끼를 낳는다. 새로 태어난 토끼들도 2달 후부터 매달 1쌍의 토끼를 낳는다면, 1년 동안 태어난 토끼는 모두 몇 쌍일까? 이때 토끼는 죽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답을 찾았나요? 아래 표를 보면 앞의 두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푹 빠진 와중에, 장이권 교수는 청솔귀뚜라미를 집어 날개를 펼치며 설명했어요. 이어
암수
의 구분법 등 곤충 동정에 관한 요령도 알려주었답니다. 대원들은 설명을 듣고선 직접 곤충을 관찰하며 온몸으로 익혔지요. 자연 탐사는 경쟁이 아닌 관심!탐사 마지막 날, 대원들은 아침 7시 장항 앞바다에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성별 자체가 없다. 암컷끼리 번갈아 가며 수컷 역할을 한다. 코모도왕도마뱀은 보통
암수
짝짓기를 통해 번식하지만, 암컷만 있는 극단적인 상황에선 암컷 홀로 생식을 한다. 2021년 10월에는 멸종위기 조류 중 동성생식이 최초로 확인됐다. 미국 샌디에이고 동물원 야생동물 보호연합은 캘리포니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이화여자 대학교 수목원에서의 1박 2일 소리 탐험대 캠프를 다녀오다!!
기사
l
20250831
잡는 것이 조금 힘들기도 하였지만 정말 재미있는 체험이였습니다. 평소에 혼자 잡기 힘든 곤충을 잡아 보았고, 매미와 귀뚜라미의
암수
구별법도 배워서 유용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음에 이 수목원에 한 번 더 와서 더 다양한 곤충들을 잡아 보고 싶습니다. @ 캠프 마지막 날에 숙소 앞에서 찍은 단체 사진 ... ...
현장 교육
기사
l
20250823
있다면 암컷입니다.매미 탈피각을 하나씩 선택해서
암수
구별하기 퀴즈를 하였습니다.배윤혁 연구원님께서 대원들이 고른 탈피각의
암수
구별을 하면 한 명 한 명 다 확인해주시며 설명해주었습니다. 해가 지고 어두워지니, 땅 속에서 나오는 매미 약충들을 많이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매미 애벌레를 왜 약충이라고 할까요?매미는 불완전 탈바꿈을 하 ...
청계천 어류 탐사 후기
기사
l
20250519
하천 정비라는 이름으로 생태 보전보다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훼손된 하천을 종종 봤습니다. 올해 초 멸종위기종인 흰목물떼새
암수
한쌍을 관찰하던 장소가 있는데, 경관을 위해 하천을 넓히는 공사를 하며 자갈과 돌들이 없어졌고, 서식지를 잃은 흰목물떼새가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저는 그 하천에서 더 이상 생명력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 후기
기사
l
20241125
아침부터 내리던 눈발이 굵어지는 가운데 눈을 맞고 있는 흰꼬리수리 한쌍을 발견했습니다.
암수
구분은 보통 덩치차이로 하는 데 덩치가 큰 왼쪽이 암컷, 오른쪽이 수컷이란 걸 알 수 있었습니다. 2. 시라루토로 호수 물새를 보기 위해 호수로 이동했습니다. 멀리서도 새하얀 큰고니무리가 보였습니다. 큰고 ...
저빌탐사대 - 241110 - 2
탐사기록
l
20241110
암수
한쌍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