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문
염통방
내방
문안
심이
스페셜
비행기에서 다리가 붓고 저린다?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
KISTI
l
2015.04.07
가슴 통증, 정맥성 고혈압이나 궤양 등의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혈전이 우
심방
과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이 일어나면서 사망할 수 있다.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은 매년 약 200만 명이 앓는 흔한 질환으로, 그 중 60만 명이 폐색전증으로 발전하고 약 10만 명이 ... ...
고혈압만 조심? 여름, 저혈압도 조심!
KISTI
l
2014.07.25
수초 이상 심박동이 정지하는 병이다. 심장의 기능 이상이 원인이다. 심박동은 우
심방
오른쪽 위에 있는 동결절이 만든 전기가 심실로 전도되면서 발생한다. 이 때 동결절에서 전기 신호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거나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도되지 못한 경우 심박동이 느려진다. 서맥은 부정맥의 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4컷 만화] 미니 심장이 콩닥콩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3호
심장 오가노이드 연구는 심근세포를 배양해도 심장 박동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심방
과 심실 구조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어요.이를 해결하고자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했어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액에서 약 7일간 키우자 지름 2mm의 작은 공처럼 생긴 심장 ... ...
[수학뉴스] 심장 모양에 따른 기능 변화,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하트(heart)’라고 부르며 그 모양 역시 하트 모양이라 알려졌지요. 이 심장을 이루는
심방
의 부피와 벽의 두께 등 세부적인 요소는 사람마다 제각각입니다.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연구팀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심장의 모양이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학적으로 연구해 발표했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한 번 활성화되면 반복해서 전류를 만들며
심방
으로 전달해요. 그러면 우
심방
과 좌
심방
이 완전히 수축되며 혈액이 모두 심실로 들어가지요. 이어서 이 전류가 심실로 옮겨가면 우심실과 좌심실도 수축해 혈액이 동맥 혈관으로 나간답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심장은 보통 1분에 약 60~80회씩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차가운 공기로 인해 좌심혈(좌
심방
과 좌심실의 혈액)은 선홍색을 띠고 있었고, 우심혈(우
심방
과 우심실의 혈액)은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암적색을 띠었다. 이는 죽기 직전까지 차가운 공기로 인해 체온이 떨어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또 두개골의 봉합선을 따라 미세한 골절이 있었는데, 이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인체탐구-인체의 신비
기사
l
20201230
피를 받아들이고 온몸으로 피가 가게끔 뿜어내요. 심장은 좌우 양쪽으로 나뉘고, 양쪽의 밑에는 작은 방(심실) 위에는 약간 큰 방(
심방
) 이 있어요. 심장의 오른쪽은 산소가 적은 피를 허파로 보내어 호흡으로 들어논 산소를 얻게 해요. 그리고 심장의 왼쪽은 산소가 풍부한 피를 온몸으로 보내요. 또 심장에는 피가 거꾸로 흐르지 않게 하는 판막도 있 ...
지상 최강의 파충류 '바다악어'에 대해서 아시나요?
기사
l
20171021
내보내는 소금 분비샘이 있어서 바닷속에서 생활하기에 알맞습니다. 이 악어의 심장은 파충류 중 유일하게 조류, 포유류와 같은 2
심방
2심실의 구조여서, 폐로 가는 피를 몸으로 가게 할 수 있고 코의 구멍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 1시간 동안 잠수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뛰어난 지능을 가지고 있어서 침입자에게 위협하는 소리를 낼뿐만 아니라 소리 ...
뜬금 호기
심방
포스팅
l
20170403
제가 집에서 키우고 있는 구피를 보다가 구피는 새끼를 잡아 먹잖아요. 도대체 왜 그러는 거에요? 자기들이 힘들게 낳은 새끼들은 왜 잡아먹는 거에요??!!!! (이해 불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